재테크

몇 가지 의견이 다른 점이 있어서 말해볼게.


1. 양적완화가 인위적인 경기 부양책인 건 맞는데, 사실 그렇게 따지면 모든 경제 부양책은 인위적인 거야. 자연적인 경기 부양책? 그런 건 세상에 존재하지 않지. 금리 인하도 인위적인 거니까.


2. 양극화는 양적완화의 부작용이라기보다는 자본주의 체제의 근본적인 문제점이라고 봐. 양적완화를 하지 않았어도 빈부격차는 늘었을 거야. 양적완화를 시행하지 않은 대부분의 국가에서도 빈부격차는 늘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거야. 한때는 자본주의가 장기적으로는 빈부격차를 감소시킨다는 '쿠즈네츠 가설'이 사실로 받아들여지기도 했지만 이건 지금에 이르러서는 잘못된 가설로 판명났지. 1980년대 이후 빈부격차가 다시 커졌거든.


3. 양적완화의 결과로 실물경제가 침체됐다는 것도 납득하기 어려워. 반대로 양적완화의 결과 미국 실물 경제는 역사적인 호황을 맞이했지. 실업률은 꿈의 실업률을 달성했고 소비 심리는 최고였어. 이 역사적인 호황은 2019년 중반까지 계속 이어졌고, 지나치게 경기가 과열되는 걸 막기 위해 금리를 인상했지. 심지어 무역전쟁 중이었는데도 말이야.


4. 양적완화로 기업 부채를 줄였다는 것도 틀렸어. 양적완화 이후 미국 부채는 최소 40% 이상 늘었어. 마찬가지로 양적완화를 시행한 유럽 국가에서도 기업 부채 비율이 늘었지. 물론 2008년 직후에는 기업 부채가 감소하긴 했어. 그런데 이건 양적완화의 효과라기보다는 구조조정에 의한 결과로 봐야 해. 양적완화는 금리를 더 이상 낮출 수 없을 때 국채와 주택저당증권을 매입하면서 시중에 돈을 푸는 건데, 국채와 주택저당증권을 매입한다고 해서 일반 기업의 부채가 줄어들지는 않지.


5. 저금리 때문에 소비를 안 한다는 것도 사실과 달라. 금리를 인하하면 일반적으로 소비가 늘어나. 금리가 낮으면 가계 부채 이자가 줄고 그만큼 소비 여력이 더 생겨. 금리 인하가 소비 여력을 낮춘다면 불황기에 금리를 인하하는 정책을 펼칠 이유가 없지.



여기까지가 내 의견이야. 투자해도 좋다고 주장하려고 글을 쓴 건 아니고, 아무래도 톨들의 재산과 관련된 민감하고 중요한 정보이다 보니 오류는 확실히 바로잡아야 할 거 같아서 글로 써 봤어. 투자는 개인의 책임이고 손실도 개인의 책임이지만 그래도 잘못된 정보로 누군가가 돈을 잃어서는 안 되잖아. 그러니까 마찬가지로 내 글에도 오류가 있으면 정확히 지적해줘!

  • tory_1 2020.03.19 02:31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W 2020.03.19 02:43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1/02/25 21:54:39)
  • tory_2 2020.03.19 02:40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W 2020.03.19 02:48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1/02/25 21:54:35)
  • tory_4 2020.03.19 08:41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3/06/22 11:12:52)
  • tory_5 2020.03.19 08:52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6 2020.03.19 10:33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W 2020.03.20 21:14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1/02/25 21:54:32)
  • tory_7 2020.03.19 23:24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8 2020.03.19 23:50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9 2020.03.20 00:03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10 2020.03.20 02:39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11 2020.03.20 03:43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12 2020.03.20 09:11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13 2020.03.20 22:44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14 2020.03.20 23:42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15 2020.03.21 15:29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16 2020.03.21 16:35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전체 【영화이벤트】 허광한 파격적 연기 변신 🎬 <만천과해> 시사회 36 2024.06.19 3124
전체 디미토리 전체 이용규칙 2021.04.26 588885
공지 [기능 추가] 글 등록 후 30일 이내 게시물 삭제금지 2022.04.27 20949
공지 재테크방 공지 2020.08.27 32246
모든 공지 확인하기()
22993 부동산 강동구vs부천 13 2024.06.22 246
22992 기타 적금 저율과세 궁금한거 있어 1 2024.06.22 165
22991 정보/자료 구글이 찾아준 내 재테크 취향 4 2024.06.22 540
22990 주식 엔비디아 크게 조정갈까? 9 2024.06.22 712
22989 주식 엔비디엘 마이너스지롱 2 2024.06.22 658
22988 주식 키움 영웅문도 다들 잘쓰지만... 토스부터 쓴 사람은 다른 어플 넘 불편하다ㅋㅋ 12 2024.06.22 399
22987 보험 보험을 해지할까 싶은데 어떤지 봐줄래? 2024.06.22 69
22986 주식 엔비디아 추매실패네 ㅋㅋㅋ 7 2024.06.22 892
22985 부동산 강남이 정말 살기 좋아? 31 2024.06.22 826
22984 주식 엔비 평단 130넘는 톨 있어..? 12 2024.06.21 821
22983 부동산 집 사려면 내 돈 절반은 있어야하지? 3 2024.06.21 425
22982 주식 와 엔비디아 쭉죽 빠지는거 첨 살때 생각나네 ㅋㅋ 2 2024.06.21 568
22981 주식 엔비디아 쭉쭉 빠진다 13 2024.06.21 916
22980 부동산 신혼집 36형 임대아파트 vs 구축 20평대 전세 2 2024.06.21 273
22979 주식 달러 환전 못한톨.. 장투는 계속해야겠지? 2 2024.06.21 225
22978 기타 나는 아직 최고의 제테크가 투잡인데 5 2024.06.21 629
22977 보험 보험 리모델링 할때 3 2024.06.21 89
22976 주식 토리들은 지금 헷지 etf사고있니? 3 2024.06.21 407
22975 기타 네이버페이 5천원 준대 3 2024.06.21 830
22974 정보/자료 재택근무톨이 창업한다면 뭐가 좋을까 4 2024.06.21 317
목록  BEST 인기글
Board Pagination 1 2 3 4 5 6 7 8 9 10 ...
/

Copyright ⓒ 2017 - dmito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