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리정원
본문 내용 보이기
  • tory_1 2019.02.01 11:45

    교양과 지식이 뚝뚝 흘러넘치는 사람들은 책도 많이보고 공부도 많이 하지만 본인이 알고있는 지식과 교양을 남들에게 잘 설명하고 설득력있게 "잘" 말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해 뉴스랑 사설 많이 본다고 했으니까 보고 난 다음 생각들을 잘 정리해보는 습관을 들이는건 어때?

    그러다보면 본인이 궁금한게 생기거든? 이 사람은 이런 생각을 어떻게 했을까 역사 책을 한번 봐 볼까? 이런 사람들은 이런 얘기를 이렇게 설명하는구나 나도 이렇게 설명할 수 있게 연습해봐야겠다라고 실천해봐봐 많은 책을 읽는것도 중요한데 찐톨이 되고 싶은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의 지식이 인풋으로만 끝나는게 아니라 아웃풋으로 뱉어내는 사람들이거든 본인의 주관이 생기고 그것에 대해서 심도있게 얘기하려는 훈련이 필요함 단순히 뉴스/사설/역사책을 듣고 읽는 것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관심있었던 부분에 대해서 더 심도있게 공부해보고 그것에 대한 느낀점을 정리해봐바 일기로 시작해도 좋을듯 

  • W 2019.02.01 11:47
    아 정말 그런 것 같아!! 좋은 방법이다 톨아 고마워!!!!
  • tory_7 2019.02.01 20:58
    나드 이 방법 추천해!! 톨 댓글 고마워!
  • tory_3 2019.02.01 12:04

    나 요즘 명상 하면서 들은 조언은

    예전엔 저런 지식을 접할 매체가 책과 구전뿐이라 책을 많이읽어라라고 했다지만

    요즘은 인터넷, 팟캐스트, 유튜브, 책 등 다양하게 지식을 접할 수 있는 매체가 있으니

    너무 책책책에 연연하지 말라고 하더라


    옛날에 누가 책을 많이 읽어서 저렇게 똑똑해졌대 유식해졌대는 그때는 그런 매체가 책뿐이어서 그런거지

    책만이 옳으건 아니라고 그렇다고 책 보단 편한 매체로만 접해야지 하지말고

    좀 골고루 다양하게 접하고 자기 중심을 가지는게 중요하다고 하더라고

    그래서 경험치가 중요하다고


    내가 유식하진 않지만 그냥 내가 느낀건 경험치가 많이 쌓여야 옳은거 아닌거걸러낼 힘이 생기고

    그래야 뭔가 줏대가 생기는거 같더라고 너무 알짜배기만 쏙쏙 외워야지 하면 아는게 딱 그만큼이라 편향되는 느낌

    똑똑해지고 유식할 수 있는 책이나 정보만 접하는게 아니라 다각도로 접해봐야 아 이건 미친소리구나 아 이건 새겨둬야겠다

    아..이건 생각해보자 아..이건 듣자마자 귀 씻을 소리구나 이런걸 좀 구분해낼 힘이 생기는거같아.


    한때 똑똑한척 하고 싶어서 상식책 잡지식책 막 읽어댔는데

    알맹이가 없더라

    그리고 그게 무조건 맞는소린줄 철썩같이 믿고 있더라고

    결국은 좋은거든 나쁜거든 많이 알아야 나쁜거 안에서 좋은걸 걸러낼힘이 길러지는거 같고

    책도 지식 쌓는거~교양있어보이는거로만 읽기보단 다각도로 접해보는게 경험치를 쌓는거고 그 경험치가 결국은

    내 생각의 베이스가 되는게 아닐까 싶어

    다양하게 좋은거든 나쁜거든 많이 접해보고 경험을

  • tory_4 2019.02.01 12:28
    여러분야에 걸쳐서 책읽기랑 시사프로 보기. 책을 정치,경제,사회학,미디어,법,사회문제 이렇게 키워드별로 추천서나 필독서 서칭해서 읽어 봐봐. 일반교양서랑 깊이차이가 좀 나지만 이렇게 보는게 되려 좋더라. 그리고 대학별 필독서랑 외신에서 추천하는 필독서 위주로읽어봐. 사고력 확장에 도움 많이 됨
  • tory_5 2019.02.01 13:50

    우리엄마가 진짜 걸어다니는 백과사전이거든 ㅋㅋㅋ 뭐 정치경제 역사 예술 등등 모르는게 없으셔 

    중고딩때 공부안하고 책만 읽었고, 대학가서도 전공공부 안하고 책만 읽으셨대. 

    본인이 하나의 이슈에 대해서 해박하게 풀어내기위해서는 겉핥기 식으로 가볍게 풀어든 책들은 도움이 안되. 울엄마 왈 잘쓰인 책을 읽어야 도움이 되지, 하등 읽어도 도움 안되는 책이 많대.

    사실 요즘 서점가보면 책들이 풀어내는 지식들이 너무 얕아. 특히 베스트 셀러들 ㅋㅋㅋ 뭐 쉽게읽는 인문학, 심리학, 이런거 백날읽어봐야 토리가 원하는 교양과 지식은 얻을수 없어.

    좀 어려운 책들을 읽어야되. 생각할 여지를 많이주는 ㅇㅇㅇㅇㅇㅇ 아 물론 처음에는 쉬운책들부터 시작하는게 좋지. 토리가 이미 간단한 상식들을 많이 쌓아놓은 상태라면 좀 어려운 책들로 넘어가는걸 추천!

  • tory_5 2019.02.01 13:50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19/02/01 13:50:39)
  • tory_6 2019.02.01 14:52
    우선 비판적 시각을 가지게 되면 의문이 생기거든. 그 의문을 풀어나가다 보면 많이 알게되는 거 같아.
  • tory_8 2019.02.03 01:11
    다독? 같은 계열의 책을 여러 권 읽으면 중복이 많은 만큼 일부러 외우지 않아도 머릿속에 들어오잖아. 그걸 여러 분야에 걸쳐 하면 되지 않을까?

Copyright ⓒ 2017 - dmito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