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유머

“MBTI가 어떻게 되세요?” “너 T야?” “전 J라서 뭐든 척척 잘합니다.”

요즘 심심찮게 들을 수 있는 대화다. 몇 년 전부터 MBTI 열풍이 불었다. 빠름을 추구하는 사회에서 다른 사람의 성향을 아주 빠르고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더 인기를 얻은 것 같다. 이제 학교 자기소개에도, 이력서에도, 자소서에도 MBTI 결과값을 쓰는 게 당연해졌다.


한때 내 성격을 정말 대변해 주는 것 같던 MBTI 유형 테스트도 이제 많은 피로와 부작용을 야기하는 것 같다. 작업 일정표를 짜야 하는데 본인이 P라서 제대로 할 수 없다고 말하는 사람, 업무 회의를 해야 하는데 I 성향이라서 말하는 게 힘들다며 이야기를 안 하는 사람, 본인은 T 성향이기 때문에 팀원들의 마음을 전혀 모르겠다고 대놓고 말하는 팀장 등등…. 어쩌면 MBTI 결과값을 방패 삼아 어떤 노력도 안 하려 드는 것은 아닐까?

이제 “저는 P라서 계획을 잘 못 세워요”라거나 “저는 I 성향이라서 회식하는 게 힘들어요” 같은 말을 들으면 장기하의 노래처럼 ‘그건 네 생각이고’를 외치고 싶다. MBTI는 지금 나의 현재 성격과 성향을 드러내는 간략한 지표일 뿐 그 결과대로 살 필요가 전혀 없다. 오히려 본인이 그런 성향이라는 것을 파악했다면 다른 성향을 발달시키도록 노력해 보고, 다른 성향의 사람들을 이해하려는 시도를 해봐야 한다.

요즘엔 누군가를 만날 때 MBTI를 더 이상 물어보지 않으려고 한다. 그 하나의 지표로 그 사람을 쉽게 판단하고 싶지 않을뿐더러 나조차도 그것을 핑계 삼아 내가 못 하는 일을 쉽게 포기하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리더십을 주제로 한 서은아 메타 상무의 영상에서 그는 이렇게 말했다.


“누군가 ‘저는 T예요. T가 팀장이 되는 게 너무 어려워요’라고 얘기합니다. 개인마다 성향이 다른 것처럼 팀장에게도 역량 성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중 하나가 ‘역량적 F’입니다. 팀원이 마주하는 상황이나 이야기에 공감하지 못한다면 그들은 더 이상 팀장에게 마음의 문을 열지 않을 것입니다. 내 개인의 성향이 T여도 지금 팀장을 맡고 있다면 공감 능력을 갖춘 ‘팀장의 자아’를 뒤집어써야 합니다.”

T 성향이기 때문에 팀장이 어렵다고 말할 게 아니라 개인의 성향이 공감을 못 하는 것이라면 공감을 잘하는 F의 역량을 키우라는 이야기다.

우리는 처음부터 MBTI대로 태어나지 않았다. 인간은 그저 몇 가지 특성을 재단할 수 없는 복잡하고 다면적인 존재다. 계획적이지 않은 사람도 체계적으로 계획을 세우는 역량을 키울 수 있고, 직관적인 사람도 이성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 MBTI로 쉽게 본인의 성향을 한계 짓지 말았으면 좋겠다.



  • tory_1 2024.05.27 11:02
    제발… 이런 거 과몰입 좀 하지 말자
    인간 유형이 16개 밖에 없겠냐 상식적으로??
    그냥 재미로만 즐깁시다… 제발
  • tory_2 2024.05.27 11:13
    기사쓴사람 T야?
  • tory_3 2024.05.27 11:28

    MBTI는 지금 나의 현재 성격과 성향을 드러내는 간략한 지표일 뿐 그 결과대로 살 필요가 전혀 없다. 

    그리고 다른 성향의 사람들을 이해하려는 시도를 해봐야 한다.

    동의해ㅎㅎ

  • tory_4 2024.05.27 16:16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4/05/29 17:01:57)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전체 【영화이벤트】 순결한 수녀의 임신, 축복인가 저주인가! 🎬 <이매큘레이트> 시사회 20 2024.06.24 1428
전체 【영화이벤트】 스칼렛 요한슨 X 채닝 테이텀 🎬 <플라이 미 투 더 문> 예매권 증정 58 2024.06.24 1229
전체 디미토리 전체 이용규칙 2021.04.26 589757
공지 🚨 시사, 정치, 정책관련 게시물/댓글 작성금지 2022.03.31 492811
공지 🔎 이슈/유머 게시판 이용규칙 2018.05.19 1141914
모든 공지 확인하기()
499880 이슈 이혼 재산분할 상담받고 충격받은 남편 18:22 8
499879 팁/정보 비행기 비즈니스 라면 끓이는 법 18:20 82
499878 이슈 드라마 <안나>에서 나이를 연기한 수지.jpgif 2 18:18 218
499877 이슈 집안마다 다르다는 에어컨 유형 17 18:16 243
499876 이슈 집고르기(월세방) 난제 7 18:14 178
499875 이슈 요즘 신축 오피스텔에서 유행하는 화장실 구조 5 18:14 344
499874 이슈 구미시 로봇주무관 업무중 계단에서 뛰어내림 8 18:14 368
499873 이슈 포스트잇 하나로 차폭 마스터 6 18:13 264
499872 이슈 호기롭게 새벽 드라이브를 간 초보운전자의 최후 4 18:12 259
499871 이슈 타지에서 개고생 중이라는 빵 7 18:12 455
499870 이슈 이거 보면 나이대 알 수 있음...jpg 1 18:11 241
499869 이슈 외국 성인플랫폼 활동하던 한국 여성 인플루언서 사망 48 18:11 841
499868 이슈 대전의 향토음식 '묵밥'.gif 8 18:10 267
499867 기사 대만 문화장관 "한류는 쇠퇴 중…이젠 '대만류' 차례" 15 18:10 178
499866 이슈 전무후무한 경로로 탈북한 가족.jpg 18:10 239
499865 기사 수도권 의료공백 메우려 비수도권서 차출 3 18:08 152
499864 이슈 트위터에서 실시간 난리난 어떤 일러레 폭로글 5 18:08 512
499863 이슈 하루에 3300칼로리 먹어도 살 빠지는 이유 14 18:07 720
499862 이슈 게들의 생존방식 3 18:06 125
499861 이슈 체지방이 지닌 가장 인상적인 특징은 체중을 감량해도 진짜로 사라지지는 않는다 8 18:06 432
목록  BEST 인기글
Board Pagination 1 2 3 4 5 6 7 8 9 10 ...
/

Copyright ⓒ 2017 - dmito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