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유머
세계적인 패션 행사에 익숙한 얼굴들이 채워지고 프런트 로에 반가운 이름이 새겨지는 동안 그림자가 드리운 지점은 없었을까? 청소년이 선망하는 아이돌 대부분이 글로벌 브랜드의 앰배서더로 활동하면서 10대의 명품 선호도는 급증했다. 최근 유튜브나 인스타그램 등에는 10대 명품 구매 브이로그나 하울 콘텐츠가 잇달아 올라오고 있고, 해당 영상의 조회수는 수만 회에서 수백만 회에 이를 정도다. 앰배서더 문화가 10대에게 과소비를 부추기고 이 과정에서 상대적 박탈감을 일으킨다는 지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본래 ‘명품’이란 경제적 수익을 취하는 성인이 되어 접하는 ‘신문물’ 같은 거였다. 하지만 지금의 명품은 SNS를 켜면 쉽게 접할 수 있는 하나의 예능 콘텐츠이자, 아르바이트를 해서라도 실물을 손에 쥐어야 직성이 풀리는 젊은 욕망의 온상이 됐다(아이돌 팬들 사이에서는 명품 등급에 따라 아이돌의 등급을 나누는 기현상도 일어난다고).

연령대라는 카테고리를 지워도 문제점은 존재한다. 브랜드는 한국이 돈이 된다는 전략적인 판단에서 K-팝 스타를 기용한다. 의도했던 대로 한국의 명품 소비율은 더욱 증가했고, 대표적으로 혜택을 본 브랜드 중 하나가 디올이다. 일명 ‘에루샤(에르메스·루이 비통·샤넬)’만큼의 지위를 얻을 수 있었던 요인으로 ‘지수 효과’가 꼽힌다. (2024년 4월 3일 기준) 크리스챤디올코리아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디올의 지난해 국내 매출은 전년(9305억원) 대비 12.4% 증가한 1조456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첫해인 2020년 매출(3285억원)과 비교하면 3년 만에 3배가 넘는 수준으로 불어난 거다. 에르메스의 한국 법인 에르메스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은 7972억4437만원으로 전년(6501억7510만원) 대비 22.6%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약 12% 뛴 2357억866만원을 기록했다.

제품 가격을 인상해도 명품은 팔린다? 팔린다. 에르메스는 새해 초 신발 제품의 가격을 최대 44% 인상하더니 며칠 뒤 주요 인기 가방 제품의 가격을 약 10~15% 올렸다. 샤넬과 디올, 루이 비통을 비롯해, 불가리, 티파니앤코와 부쉐론 같은 주얼리 브랜드도 예외는 아니었다. 오늘 산 명품이 가장 저렴하다는 이야기가 정설처럼 도는 현실의 한편에는 분명 과열된 앰배서더 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


(생략)

취재 고충은 기자가 지닌 직업적 불만으로 치부하더라도 일주일에 한 번 꼴로 접하는 앰배서더 소식을 글로벌 마켓에서 한국의 위상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랐다고 해석해 무조건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거다. 지난 2월 고야드가 발표한 새 방침이 논란이 된 적 있다. ‘보헴(Boheme)백’의 흥행이 이어지자, 공급이 부족하다며 연간 실적 300만원 이상 고객에게만 해당 백을 판매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하우스 브랜드의 지속적인 가격 인상과 제품 제공 전에 일정 금액을 지불해야 대기 명단에 이름을 올릴 수 있는 대기 정책까지…. ‘한국의 위상’이라고만 하기에는 확실히 모순이 있다. 또 대중이 누군가의 영향력(여기서 말하는 영향력은 단순히 숫자로 환산된 수치가 아니라 취향을 막론하고 예술 문화적으로 공감을 살 수 있는 파급력 정도로 해석하면 좋겠다)을 ‘자의적으로’ 인정하고 이해하기 앞서 기획사와 패션 기업의 마케팅적 결탁으로 혹은 선점 경쟁에 따라 서둘러 앰배서더가 되는 경우를 두고 우리는 그저 (기대했던 대로) 환호로만 화답해야 할까? 차분하고 냉정하게 이면(裏面)을 바라보는 자세도 필요하다.





전문 https://m.thesingle.co.kr/article/718287/THESINGLE
  • tory_1 2024.05.26 09:45
    자의식과잉
    중국 앰버서더 보면 기절할듯
    한국 말고 일본도 많고 그냥 명품 업계에서 앰버서더 마케팅을 활발하게 하게 된 거고 각 나라마다 파이를 배분해놓은 것 뿐이라 한국만의 특별한 현상도 아니고 아무도 한국의 위상이라고 생각 안하는데
  • tory_4 2024.05.26 10:15
    222
  • tory_6 2024.05.26 10:38
    아무도 그렇게 생각 안 하면 정말 좋을 텐데 아니더라..... 이런 기사 괜히 나오는 게 아님(처음 나오는 것도 아니고)
  • tory_2 2024.05.26 09:49
    뉴진스 하니는 구찌 홀스빗 라인 글로벌 단독엠베서더 되어서 구찌에서 광고 음층 하던데 아일릿은 뭐가 없는모양? 시혁돌이 광고모델자리 못따면 과소비조장이고 시혁돌이 뤼비통인지 뭔지 따면 국격상승이고? 에라이 갈대놈들

    무분별하게 명품집착하는건 지양해야 하지만 일단 뭐 모델료로 외화벌어온다는데 외화 많이 벌어오면 좋지 뭐
  • tory_3 2024.05.26 10:14
    여기서 방시혁이 왜 나와;;; 무슨 모든 기사를 뉴진스랑 연관시켜서 보네 본문 보면 뜨기도 전에 앰버서더부터 하는 케이스로 아일릿 언급하고 있는데

    그리고 아이돌들이 모델료로 벌어오는 외화보다 그 아이돌 영향으로 명품사느라 나가는 외화가 더 많을듯

    -
    한국의 국민 1인당 명품 소비액은 40만4000원으로, 이는 2위인 미국(약 34만8000원)과 3위인 중국(약 6만8000원)보다 많았다.
  • tory_5 2024.05.26 10:35
    뭔소리야 전문에서 이미 예시로 아일릿도 언급했는데..그거와는 별개로 아이돌이 명품 엠베서더 맡으면서 청소년 명품 소비 문화 확산에 우려를 표하는 기사는 작년에도 나옴...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전체 【영화이벤트】 순결한 수녀의 임신, 축복인가 저주인가! 🎬 <이매큘레이트> 시사회 8 2024.06.24 411
전체 【영화이벤트】 스칼렛 요한슨 X 채닝 테이텀 🎬 <플라이 미 투 더 문> 예매권 증정 35 2024.06.24 510
전체 【영화이벤트】 허광한 파격적 연기 변신 🎬 <만천과해> 시사회 45 2024.06.19 5252
전체 디미토리 전체 이용규칙 2021.04.26 589381
공지 🚨 시사, 정치, 정책관련 게시물/댓글 작성금지 2022.03.31 492537
공지 🔎 이슈/유머 게시판 이용규칙 2018.05.19 1141462
모든 공지 확인하기()
499416 이슈 갑자기 업종이 변경된 가게 16:53 37
499415 이슈 박세리 리즈 시절 패기 16:51 196
499414 이슈 '저출생'이라는 용어에 발작하는 남초 3 16:51 140
499413 이슈 매일 50원씩 돈이 떨어지는 감나무 4 16:51 158
499412 이슈 할부지랑 물놀이하는 댕댕이들🐼 5 16:49 149
499411 이슈 체벌 당하고 자란 아이는 지능도 떨어지고 정신병 생기고 비행청소년으로 자랄 확률이 높음 1 16:49 121
499410 이슈 인감증명 발급 연거푸 거부…“발달장애인은 인감도 못 떼나요?” 10 16:49 124
499409 이슈 컴백 앞두고 버스킹에서 먼저 타이틀곡 공개한 아이돌 16:47 112
499408 유머 남친이랑 같이 소원쪽지 썼는데 온도차 봐 10 16:47 398
499407 이슈 서강준 실물보고 개빡쳤다는 사람.jpg 9 16:46 537
499406 이슈 신박한 신부입장 11 16:41 678
499405 기사 [속보]화성 일차전지 공장서 시신 20여구 추가 발견 40 16:39 1302
499404 이슈 신입 직원 대답이 ㅖ인 심리 좀 알려줘 15 16:39 518
499403 이슈 오늘부터 시작한다는 네이버 블로그 챌린지 (블챌) 상황 6 16:39 809
499402 이슈 밤 관련 디저트가 잘 안나오는 이유.jpg 11 16:37 577
499401 유머 금단의 선을 넘은건가 5 16:35 366
499400 유머 제주도는 결혼식을 죄다 아침에만 해서 4 16:35 873
499399 이슈 ㅇㅇ이의 모든 선택을 응원해 < 이 말 왜케 싫냐 24 16:34 835
499398 이슈 적정 체중을 유지해야 하는 이유.jpg 9 16:33 952
499397 이슈 그러니까, 백수로 잘 놀고 잘 사는 7가지 방법 13 16:32 505
목록  BEST 인기글
Board Pagination 1 2 3 4 5 6 7 8 9 10 ...
/

Copyright ⓒ 2017 - dmito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