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밑에 1가구 1주택 입법 한대서 블로그에서 퍼왔어

<요약>

96%국민이 자기집에서 사는 나라, 루마니아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지금 주택보급율 실태는, 한국 57%, 미국 64%, 일본 62%, 루마니아 95.8%



<루마니아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

-전국 가구가 주택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은 더 이상 집을 짓지 않는다.

-새로 집을 지어도 살 사람이 없거나 미미하다.

-좀 더 크고 좋은 집으로 이사가고 싶어도 팔리지 않는다.

-주택건설이 멈추고, 경제가 발전하지 않는다.

-다른 지역에서 집을 구할 수 없다.

-다른 지역에서 직장을 구하려 해도 살 집을 구할 수 없으니 포기한다. (다른 지역에서 셋집을 구할 수 없다.)

-아이들이 커서 독립하려고 해도 집을 사기는 물론 셋집을 구할 수도 어렵다. 함께 산다. (결국, 주거 혼잡도가 47%로 타 유럽국 26.%%보다 월등히 높아졌다.)

-주택 노후화가 심각해졌다.



결국, 루마니아의 1가구1주택 정책 강요는 주택건설 및 임대 산업의 붕괴로 이어져 국민경제를 파국으로 몰았다.





'1가구 1주택' 실현되면 집 문제는 해결될까

송고시간2020-07-18 08:00

추왕훈 기자

최성락 교수 '규제의 역설'에서 반론

(서울=연합뉴스) 추왕훈 기자 = 최근 정부가 다주택 보유자들이 여분의 집을 시장에 내놓게 하기 위해 온갖 규제 정책을 마련하고 고위 공직자들에게 1주택 이외에는 매각하라고 닦달하는 것을 보면 모든 국민이 자기 살 집 한 채씩만 갖고 더는 욕심을 내지 않는 것이 이상적인 상태라고 여기는 듯하다. 그러나 완전한 '1가구 1주택'이 실현되면 부동산 시장이 안정되고 국민의 주거 생활이 행복해지게 될까.



규제 전문가인 최성락 동양미래대 교수는 최근 발간한 책 '규제의 역설'(페이퍼로드)에서 이 질문에 단연코 '노(No)'라고 대답한다. 현실 세계에서 '1가구 1주택'을 거의 실현한 국가가 있다. 동유럽의 옛 사회주의 국가 루마니아다.

루마니아의 자가 보유율은 96%라고 한다. 미국은 64%, 일본은 62%, 한국은 57%에 불과하다. 저자는 자료의 출처를 밝히지는 않았지만, 유럽연합통계청(Eurostat)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루마니아의 자가거주 비율은 96~97% 선을 유지했고 지난해 95.8%로 소폭 하락했다.



이는 1990년대 공산주의가 무너져 내리기 전 루마니아 정부가 전 국민들이 자기 집을 가지고 자기 집에서 살게 하는 정책을 펼친 데 따른 결과다. '1가구 1주택'에 거의 근접한 루마니아의 주거 실정은 어떨까. 저자에 따르면

-우선 집을 짓지 않게 됐다.

-국민이 모두 자기 집을 가지고 있으니 새로 집을 짓는다고 해도 살 사람이 없다.

-조금 더 크고 좋은 집으로 옮기고 싶어 지금 사는 집을 팔려고 해도 같은 이유로 팔리지 않는다.

-주택 건설이 멈추고 그에 수반한 경제 발전도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다.

-다른 도시에서 직장을 구하려고 해도 거기서 살 집을 구할 수 없으니 다른 도시로 직장을 옮기기도 쉽지 않다.

(다른 나라 같으면 당장 집을 옮겨야 할 경우 임차하는 것이 손쉬운 해결책이겠지만 거의 전 국민이 자기 소유의 집에서 살고 여분으로 소유한 집이 없다 보니 셋집도 없는 것이 당연하다.)

-아이들이 커서 독립하려고 해도 집을 사는 것은 물론 셋집을 얻기도 어렵다.



결국 집을 사는 것도, 파는 것도, 새로 짓는 것도 모두 꽉 막힌 상황에서는 한번 살게 된 집에서 세대를 이어가며 사는 것 이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 가족 구성원의 수, 나이, 가족 형태와 방 수 등을 고려해 산출하는

-주거 혼잡도는 루마니아가 47%(2017년 기준)로 유럽연합(EU) 평균 26.5%보다 월등히 높았다.

보통 이사를 하거나 세를 줄 때 집을 수리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럴 일이 없다 보니

-루마니아 주택의 노후화는 심각한 수준이다.



무아마르 카다피 시절의 리비아는 더욱 급진적인 정책을 실험했다. 모든 주택을 국유화해 소유 개념을 없앤 것은 물론 별도로 배분 기준을 마련하지 않고 아무 집이나 빈 곳이면 먼저 발견한 사람이 들어가 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심지어 거주자가 있는 집이라도 잠시 집을 비우면 누구나 들어가 살 수 있었고 이를 막으려고 외출할 때 집에 자물쇠를 채우는 사람이 생겨나자 자물쇠를 금지했다고 한다. 주택을 국유화하더라도 배분 과정에서 불평등해질 수밖에 없는데 리비아의 이 정책은 이 문제까지 해결함으로써 '완전 평등'을 실현한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좋은 집을 점유하고 이를 지킬 수 있는 사람은 결국 집에 가정부나 집사, 하인을 둘 수 있는 부유층과 권력층이었고 식구가 모두 나가서 일해야 하는 가정은 어렵게 집을 장만해도 유지할 수가 없었다.



책에는 이처럼 좋은 의도로 시작했을지는 몰라도 막상 결과는 그에 역행하는 '규제의 역설' 정책 사례가 길게 이어진다.

프랑스 혁명 초기 권력을 장악한 로베스피에르가 실각해 단두대에서 처형된 이유 가운데 하나는 우유 가격 급등을 막기 위한 규제정책의 실패라고 저자는 지적한다. 정부가 우윳값을 지정하고 그보다 비싸게 파는 사람을 처벌했지만, 사료 등 생산 요소의 가격이 올라 정부가 제시한 가격으로는 우유 생산자들이 도저히 수지를 맞추지 못하게 되자 우유는 시장에서 자취를 감추고 암시장에서 비싸게 유통된다. 이에 정부가 사료 가격을 규제하자 사료 생산이 멈추고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규제로 우유뿐만 아니라 우유를 사용하는 빵과 치즈 가격까지 연쇄적으로 폭등하자 견디지 못한 국민들이 들고일어난 것이다.



이 밖에도 저자는 노동자들의 소득을 감소시키는 최저임금제, 실업자를 늘린 비정규직보호법, 강사 일자리를 없애는 대학 강사법, 막걸리 시장을 축소한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 전통시장 매출이 감소하게 만든 대형마트 의무휴업 제도 등 규제가 역효과를 불러온 사례들을 제시한다. 저자가 말하는 '규제의 역설'이란 규제 가운데서도 반드시 실패할 수밖에 없는 사례들을 가리키기 위해 고안한 말이다. 규제의 역설은 단순히 부작용이 큰 규제가 아니라 목적에 오히려 해로운 규제다. 실패가 예정된 것이니 시행착오를 통한 개선도 기대하기 힘들다.



저자는 규제의 역설을 막는 방법에 관해 이렇게 말한다. 당연하게 들리는 말이다. 첫째, 규제를 만들 때는 선의보다는 그 결과가 좋게 나오는지를 중시해야 한다. 둘째, 근본적인 원인이 아닌 증상만을 치유하기 위해 규제를 만들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오기로 실패한 규제를 끝까지 밀어붙이는 일이 없어야 한다.


출처 네이버 걸어서 지구 한바퀴 블로그
  • tory_1 2020.12.22 10:17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2 2020.12.22 10:19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3 2020.12.22 10:21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4 2020.12.22 10:33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5 2020.12.22 10:41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1/10/06 20:07:28)
  • tory_6 2020.12.22 10:42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7 2020.12.22 11:02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8 2020.12.22 11:45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9 2020.12.22 12:34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3/06/23 07:04:09)
  • tory_10 2020.12.22 13:39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11 2020.12.22 14:12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12 2020.12.22 16:24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1 2020.12.22 16:25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 tory_13 2020.12.22 16:44
    비회원은 댓글 열람이 불가능합니다.
    로그인 해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전체 【영화이벤트】 순결한 수녀의 임신, 축복인가 저주인가! 🎬 <이매큘레이트> 시사회 15 2024.06.24 894
전체 【영화이벤트】 스칼렛 요한슨 X 채닝 테이텀 🎬 <플라이 미 투 더 문> 예매권 증정 49 2024.06.24 865
전체 디미토리 전체 이용규칙 2021.04.26 589579
공지 [기능 추가] 글 등록 후 30일 이내 게시물 삭제금지 2022.04.27 20993
공지 재테크방 공지 2020.08.27 32289
모든 공지 확인하기()
178 부동산 올해 안에 꼭 집 사야하는 4가지 이유(펌) 22 2020.12.25 2194
177 정보/자료 근로소득만 믿고 있으면 안되는 이유 40 2020.12.23 2633
176 부동산 부동산 정책의 롤모델은 베네수엘라인듯 64 2020.12.22 1598
175 보험 보험사 근무 톨인데 심심해서 질문 받고싶어~ 57 2020.12.22 1067
174 부동산 1가구 1주택이면 다주택자들이 파는 물량 나와야하는 거 아냐? 316 2020.12.22 2708
» 부동산 1가구1주택을 달성한 루마니아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나? 14 2020.12.22 1432
172 부동산 ‘1가구 1주택’ 法으로 대못 박는다 99 2020.12.22 1863
171 부동산 부동산의 양극화? 부린이의 개인적인 잡담.. 77 2020.12.22 3889
170 부동산 (블라인드펌) 하락장 경험한 이야기 70 2020.12.21 11536
169 부동산 와우.."공임 못들어가는 전월세 사는 사람들에 대한 대책이 있냐고" 이글 블라인드됐네;;; 79 2020.12.21 4292
168 주식 계좌 여러개 굴리는데 정산겸 후기글 써봐 36 2020.12.17 6839
167 부동산 "그냥 내버려뒀더라면" (과도한 개입이 초래한 시장의 자정(自淨) 기능 상실) 15 2020.12.14 719
166 부동산 임대주택에 대한 견해 73 2020.12.13 4365
165 부동산 핵심은 집값 폭등이 노동가치 폭락을 가져왔다는 거임 257 2020.12.13 8026
164 부동산 임대가 보편적인 복지국가에서 임대 살아본 후기 28 2020.12.12 1492
163 보험 보험들때 마지막 순간까지 주의해! 26 2020.12.12 2305
162 기타 13평에 애 둘 발언 기레기가 장난친거네;; 81 2020.12.12 1343
161 부동산 양아치짓도 이런 양아치짓이 없다 54 2020.12.12 1070
160 기타 13평에 애둘 살 수 있다는 대통령 발언 어떻게 봐? 81 2020.12.11 1234
159 기타 201211 살기위해 소비를 멈췄다 1(1단계.재고파악)+토리의 주식상태 15 2020.12.11 3425
목록  BEST 인기글
Board Pagination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

Copyright ⓒ 2017 - dmito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