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해외거주

아래 일본 집 글 보고 언제 꼭 써야지 생각만 했던 미국에서 집 산 후기 겹 팁 써봐.

사는 과정에서 배웠던 것들 정리겸 + 팁/정보 공유도 할 겸.


이걸로 얼마나 도움받을 톨들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내가 정보 얻으려고 미주 한인 커뮤니티 (그 유명한..) 도 돌아봤는데, 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질문을 하거나 과정에 대해 상당히 잘 모르더라고.

여기 쓸 것들은 우리 부부가 미국 부동산 관련 다수의 책들 + 다수의 부동산 유투버ㅎ들을 섭렵하고, 뼈아픈 실전을 거치며; 첫 집 살 때 미리 알았다면 좋았을 걸ㅠㅠ 하고 생각한 것들이야. 같이 팁 나눠줘도 좋을 것 같아!


참고로 나는 캘리 톨이고, 올해 여름... 그러니까 코로나의 중심에서 집 알아보고 사기까지의 3개월 정도의 여정을 거쳤기에...

시공간적 특수성이 있다는 것을 꼭 감안해줘!ㅎㅎ




먼저, 미국에서 집 사는 과정은 다음과 같아(모기지를 빌릴 경우):


모기지 론 (loan)에 대한 Pre-approval letter를 받고 -> 리얼터를 정하고 -> 리얼터와 집 매물들을 돌아보고 -> 마음에 드는 집에 오퍼를 낸다 (X 반복)


오퍼가 붙으면 에스크로 (escrow)라는 것을 열고 -> 집 감정 (가격)과 검사 (상태)를 한 후 -> 최종 집 가격을 흥정 -> (보통) 한달 안에 모기지 론이 나오면 -> 계약 완료!!




엄청 복잡하지 ㅠㅠ



중요한 거 하나씩 정리를 해보자면..


1. 리얼터


제일 중요 ☆ ☆ ☆


미국은 두가지 리얼터가 있어. 바이어와 셀러.

계약 하나 당 한 리얼터가 바이어 측 대리인(에이전트) 또는 셀러 측 에이전트가 되어서 일을 해. 자세한 협상은 바이어-셀러가 직접 하는 것이 아니라 그 둘의 대리인인 에이전트 둘이 서로 함.


리얼터 고르는 팁은 내가 집 사려는 지역 토박이거나 오래 산 ☆현 거주민이고, 될 수 있는 한 큰 부동산 회사에서 일하고, 특히 ‘바이어’ 에이전트로 많이 일한 사람일 것☆


가끔 한 에이전트가 바이어 셀러 동시에 맡는 듀얼 에이전트를 하는데, 이게 바이어에겐 좋을 것 없음.

대부분의 주에서 커미션은 셀러가 집 판 값에서 내는데, 보통 집값의 5% 정도고, 이걸 에이전트 둘이 나눠가지기 때문에 사실 바이어 리얼터는 집값 깎는데 크게 득보는게 없어.


그래서 그 동네 리얼터 평가 사이트 같은걸 보고, 이 사람이 셀러/바이어 어느 비율로 일했고, 보통 맡는 집 가격대와 지역대가 어딘지 등을 봐야해. 또 계속 의사소통 하는 내 대리인이므로, 발이 넓고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맞는 사람일 것도 중요.


한인들은 의사소통 때문에 한인 리얼터랑 하는 경우도 많던데, 우리는 그냥 평 좋은 미국인 여성분께 했어.

그 이유는 둘 다 여성과 소통하는 것이 더 편했고 + 현지인에 여러 큰 부동산 회사에서 일해봐서 발이 넓었고 (중요!) + 우리가 사려는 동네에서 살았기 때문에 동네를 잘 알고 + 인내심이 좋았기 때문.


리얼터가 꼭 필요하냐는 사람도 많은데, 리얼터가 있으면 일단 매물을 빨리 볼 수 있고 (집 매물 정보는 보통 리얼터 커뮤니티에 먼저 돌고, 그 다음에 Zillow 같은 사이트에 올라옴), 동네 업계 사정을 잘 아니까 오퍼 작성에 유리함.


팁+ 리얼터가 전담 계약서 작성등을 요구할 경우 신중할 것. 계약서 안써도 A 리얼터와 같이 보러간 집을 후에 다른 B 리얼터와 사더라도 A가 요구하면 커미션을 A에게 줘야 할 경우도 있으므로 조심 (주마다 다름).


팁2+ 리얼터와 계약할 때 리얼터에게 리베잇 (rebate) 이라고 리얼터가 받을 커미션의 몇 % (현금)를 요구할 수 있다고 함. 우린 이거 몰라서 안했는데, 리얼터가 나중에 이것저것 선물 보내주긴 하더라.. 비싼 집을 살수록 요구했을 때 리얼터가 받아들일 확률이 커질 거야. 이건 리얼터랑 흥정해 볼 수 있는 사항인 듯.



2. 집 값


미국은 통상적으로 집값의 <15% 정도를 다운페이먼트로 지급하고, 나머지를 모기지로 빌려서 20~30년 정도에 걸쳐 분할 납부해. 하지만 이건 그냥 정론이고, 셀러 마켓일 경우 다운 페이먼트가 20% 이상은 기본이고, 현금 박치기하는 사람들도 있어 (부자 중국인).


모기지는 보통 매달 내는 모기지가 세금 공제 전 자기 월급의 40% 이하가 되도록 돈을 빌려줌. 더 받고 싶어도 모기지 론을 빌려주는 렌더 (lender) 가 증빙 서류들을 다 참고해서 계산하기 때문에, 그 이상은 론이 안나와.

따라서 모기지 + 다운페이먼트로 내가 살 수 있는 집값의 범위를 좁힐 수 있지.

첫 집 구매자들에게 다운페이먼트 싸게 빌려주는 정책도 있는데, 그건 주마다 다르고 조건도 다양해서...


집 가격은 Zillow 나 Remax 등에서 집 매물과 예상 가격이 올라오지만, 사실 그냥 참고용일 뿐이고, 그 가격에서 더하거나 뺀 가격으로 오퍼를 내.

집 사고 파는 것은 미국답게 시장논리 + 경매 원리로 돌아감. 따라서 이 오퍼는 말 그대로 눈치싸움. 오퍼가 몇개 들어왔는지, 얼마에 들어왔는지, 어떤 조건인지는 셀러랑 셀러 에이전트밖에 모름.

여기서 리얼터의 능력이 빛을 발해. 과거 기록 분석+정보 수집으로 손해보지 않는 선에서 적절한 오퍼를 내는데 도움을 주는 것 (우리 리얼터는 셀러 에이전트랑 옛 동료였기 때문에, 계속 전화해서 쿡쿡 찔러보고, 상대가 의도치 않게 흘리는 말을 캐치해서 정보를 얻었음).


위에서 말한 것처럼, 셀러 마켓일 경우 인기있는 집은 오퍼가 수십 개가 들어오기도 하고, 조건도 다 다름. 다운페이먼트를 높이거나, 다 현금으로 주겠다거나, 집 값에서 몇만불을 더 올려서 부르기도 함.

다운페이먼트 비율이 중요한 이유는, 모기지 론을 받을 때 비율이 낮으면 론이 안나오기도 해서. 셀러 입장에서는 론이 안나와서 거래가 틀어지는 위험요소를 방지하는 거지. 반대로 바이어 마켓일 경우 집값을 후려치거나 아주 꼼꼼하게 집을 본다는 오퍼를 낼 수도 있어.


대신 얼마나 오퍼를 오래 받을 것인가, 언제 답을 줄 것인가, 오퍼를 받거나 거절할 것인지는 다 셀러 마음. 가끔 카운터 오퍼 (counter offer) 라고 재협상 조건을 제시하기도 해.


여기서 더 세부조건이 있는데 컨틴전시 (contingency)라고 오퍼에 추가/제거할 수 있는 조건들이야.

집 감정 (appraisal), 모기지, 타이틀 등 집 사는 과정에서 셀러 측이나 집 자체의 어떤 수상한 내역이 발견되었을 때 거래를 물릴 수 있는 내 권리를 포기하겠다는 조항인데, 이걸 제거할 수록 바이어로서 부담이 증가하는 대신 강한 오퍼를 만들 수 있는 전략이기도 해.


다운페이먼트를 만들기 위해서 부모님께 자금을 조달받는 경우가 많은데, 그건 렌더가 잘 설명해 주겠지만, 마음대로 그냥 계좌이체 하지 말고, gift money letter 등을 받아서 돈 출처 증빙 서류 등을 만들어 놓는 것이 좋음..

또 신용 등급이 바뀌면 론 받는데 문제가 생길 수도 있으니 ☆집 사기로 결정한 순간부터 경제활동 신중하게 할 것 (ex. 신용카드 만들거나 차 같은거 사지 말 것) ☆


-------------


일단 여기서 끊을게. 너무 길어져서 ㅠㅠ 반응 있으면 이어서 쓸게!


  • tory_1 2020.12.10 05:31

    우와 미국에서 집살일은 없을것 같지만 너무 꿀팁이다!!!

  • W 2020.12.10 08:19

    ㅎㅎ 고마워 꿀팁이 되었다니! 나도 여기서 집 살 일은 없을 거라고 생각했어;;ㅠㅠ 사람 일은 모르는 것...

  • tory_2 2020.12.10 05:40

    아 ㅠㅠㅠ 우리도 두달전에 집사고 들어왔는데 이 보물같은 정보들을 조금만 더 빨리 알았더라면 ㅠㅠㅠ

    아주 맨땅에 헤딩하듯 저 스텝 하나하나 문제생겨서 풀어가느라고 흰머리가 너무 많이 생겼어.

    미국톨들한테 아주 유용한 정보일것같아. 난 뉴욕톨이지만 전국공용일듯.

  • W 2020.12.10 08:22

    진짜 토리도 고생했구나 ㅠㅠ 특히 코로나 터지면서 다들 처음 있는 일이라 우왕좌왕했어.. 그래도 어떻게 해냈다!

  • tory_3 2020.12.10 06:02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2/12/13 13:20:53)
  • W 2020.12.10 08:22

    고마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면 좋겠다ㅎㅎ

  • tory_4 2020.12.10 06:43
    오오 우리도 돈모으는중인 뉴욕거주톨인데 완전대박 정보다 고마워!!
  • W 2020.12.10 08:23

    뉴욕은 더 힘들 것 같아ㅎㅎ 여긴 조금 교외라 그나마 수월했던 것 같아. 집사는거 화이팅!!

  • tory_6 2020.12.10 08:59
    우와 토리야 진짜진짜 고마워! 나도 캘리 살고 내년쯤엔 집 사려고 준비중인데 아직 잘 몰라ㅜㅜ 토리 글 진짜 도움 많이 되겠어 여러번 정독하면서 읽을게 고마워!!
  • tory_7 2020.12.10 09:15

    정보 고마워!!!

  • tory_8 2020.12.10 12:13
    난 dmv톨인데 올해 매물없대서 내년생각중
    좋은글이야!!
  • W 2020.12.11 11:19

    올해 매물 진짜 없더라.. 톨네쪽은 더 핫할지도.. 내집마련 화이팅이야 힘내쟈!

  • tory_9 2020.12.10 14:03

    너무 고마워 ㅠㅠ! 진짜 어렵구나..ㅠㅠㅠㅠㅠ

  • tory_10 2020.12.10 14:22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1/09/22 11:38:05)
  • tory_11 2020.12.10 17:21
    글 고마워!
  • tory_12 2020.12.11 01:15
    와아 나도 언젠가 집 살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런 보물같은 정보 공유해줘서 너무 고마워 톨!! 스크랩해두고 다시 여러번 정독해야겠다~
  • tory_13 2020.12.11 07:27
    미국 살면서 맨날 질로우 레드핀 들락날락하는데 정말 깔끔하게 정리잘해줬다 ㅠㅠ 우리동네는 다운 30프로는 깔아야한다고 하더라고 안그럼 오퍼넣어도 탈락하는 경우가ㅠ많대 ㅠㅠ
  • W 2020.12.11 11:21

    다운 30프로...ㄷㄷ 와웅 엄청 높구나. 우린 20프로 겨우 턱걸이 했는데 ㅠㅠ 운이 좋았어.

    질로우 볼 때가 제일 재밌었던 거 같아 ㅎㅎㅎ

  • tory_14 2020.12.11 07:57
    어우 웬일이야 캘리톨인데 곧 집사려고 생각하던 중이었어서 이 글 완전 강같다 지우지 말아줘ㅠㅠㅠㅠㅠ 스크랩했어 너무 고마워!!! 2편도 잘 읽을게!!!
  • tory_15 2020.12.11 09:05

    캘리톨은 아니지만 3년 내에 집 사려고 하는톨인데 너무 고마워 ㅠㅠ 스크랩한드아!!!

  • tory_16 2020.12.11 10:04

    고마워 토리야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나도 미국톨, 집살때 스크랩 한거 와서 다시 볼겡!!!! 넘넘 좋은글이다!!

  • tory_17 2020.12.11 16:36
    헐헐 너무 고마워! 미국에서 집구하는 자세한과정 너무 알고싶었는데 정말 고마워!
  • tory_18 2020.12.11 19:12
    와 세상에 토리야 넘 고마워!!! 미국에 집 사는거 꿈이지만 미국에는 한번도 안가본 톨인데..^^.. 앞으로 일은 모르니까 스크랩해본다..후후.. 토리 정성글 고마워!!!!!
  • tory_19 2020.12.12 01:34
    와!!! 미국 1도 가본적없지만 혹시나해서 스크랩까지 해놓음 난 걍 테일러스위프트처럼 현금으로 다 낼듯 머리아프네 ㅠ 좋은꿀팁이야^^
  • tory_20 2021.01.15 17:20
    톨아 글써줘서 고마워 :)
  • tory_21 2022.04.29 02:32
    우와 신기하다...
  • tory_22 2022.05.23 01:50
    꿀팁!!
  • tory_23 2022.10.11 17:30

    쓸일이 없어도 무조건 스크랩... 

  • tory_24 2023.07.24 15:02
    고마워!! 참고항게!!!
  • tory_25 2024.04.19 02:21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4/04/25 18:58:59)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전체 【영화이벤트】 이성민 X 이희준 X 공승연 🎬 <핸섬가이즈> 오싹한 집들이 시사회 18 2024.06.05 1078
전체 【영화이벤트】 하정우 X 여진구 X 성동일 X 채수빈 🎬 <하이재킹> 시사회 83 2024.05.31 8495
전체 【영화이벤트】 추락하는 비행기! 반드시 살아남아야 한다! 🎬 <노 웨이 업> 시사회 30 2024.05.28 2344
전체 【영화이벤트】 당신의 데이트도 악몽이 될 수 있다! 🎬 <캣퍼슨> 시사회 25 2024.05.28 2194
전체 디미토리 전체 이용규칙 2021.04.26 583605
공지 여행/해외거주 게시판 공지 67 2017.12.20 44825
모든 공지 확인하기()
549 해외거주 홍콩톨,,, 조심스레 홍콩남자 추천해봐 61 2020.12.25 7890
548 해외여행 우리 망한 여행 얘기해볼래..? ㅋㅋ 43 2020.12.24 2622
547 해외거주 일본 관련 여러가지 셀프 질의응답 28 2020.12.24 1657
546 해외거주 성급한 일반화로 가득한 해외거주 한남 + 백인녀 커플 이야기 14 2020.12.23 1819
545 여행후기 작년 스페인 여행 도시별, 레스토랑별 후기.jpg - 스페인편 (데이터 주의!) 34 2020.12.21 1876
544 정보/꿀팁 한국거주하는 양남들 개개개x1000000 극혐 84 2020.12.18 9290
543 해외거주 해외거주 한남종특 - 뉴질랜드편 25 2020.12.17 3674
542 해외거주 해외거주톨의 투자집 구입기 35 2020.12.15 1254
541 해외거주 200플 넘은 글은 그냥 해외사는 사람이 한국 생활의 단점을 지적해서 저렇게까지 플이 늘어난건 아닌거같아 161 2020.12.14 7376
540 해외거주 여기는 해외or국내여행/해외 거주 커뮤니티 입니다. 101 2020.12.14 5292
539 해외거주 한국에서의 이질감과 동질감 35 2020.12.13 4272
538 해외거주 캐나다의 단점.+여자의 삶 24 2020.12.13 3379
537 해외거주 한국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은 이유 356 2020.12.12 9451
536 해외거주 미국서 살기 좋은 도시 꼽아볼래? 30 2020.12.12 1556
535 해외거주 시리즈화 될듯한 해외거주 한남 종특 - 일본편 67 2020.12.10 6758
534 해외거주 미국에서 집사기 (하) 30 2020.12.10 1762
» 해외거주 미국에서 집사기 (상) 30 2020.12.10 3993
532 해외여행 2019년 초여름에 다녀온 핀란드 가족여행 대충 후기 1 (스압, 똥손사진 주의) 23 2020.12.08 1068
531 해외거주 중동 국가에서 잠시 살았었는데 여기서 만난 한남들도 오지고 지렸음 32 2020.12.08 5230
530 해외거주 시민권자 밉국및 검사 자가격리 후기 9 2020.12.08 956
목록  BEST 인기글
Board Pagination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

Copyright ⓒ 2017 - dmito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