헐리우드

슬라보예 지젝의 조커 리뷰 1.

https://myheartwillgoonandsoonandsoon.blogspot.com/2019/11/zizek-on-joker.html




Daily life has become a horror movie

일상의 삶이 호러가 된다.




We should congratulate Hollywood and the viewers on two things: that such a film that, let's face it, gives a very dark image of highly developed capitalism, a nightmarish image which led some critics to designate it a 'social horror film', came out. Usually, we have social films, which depict social problems, and then we have horror films. To bring these two genres together, it is only possible when many phenomena in our ordinary social life become phenomena which belong to horror films.

두 가지 점에서 관객과 할리우드를 축하해야 할 것이다. 고도로 발달된 자본주의의 어두운 측면을 비춰주고, 사회적 공포영화라는 비평을 이끌어낸 악몽같은 이미지가 있는 영화가 나왔다는 것- 대개 사회문제를 지적하는 사회고발영화가 있고, 공포영화가 또 있다. 이는 오직 보통의 사회적 삶의 많은 현상이 공포영화에 있는 것들이 되어버릴 때만 가능한 일이다.



It is even more interesting to see how reactions to the film provide a whole specter of political cohesions in the US. On the one hand, conservatives were afraid that this film would incite violence. It was an absurd claim. No violence was triggered by this film. On the contrary, the film depicts violence and awakens you to the danger of violence.

영화에 대한 반응이 미국의 정치적 응집이라는 전체적인 두려움을 어떻게 규정하는지 바라보는 것이 더 흥미롭다. 이쪽에서 보수당 종자들은 영화가 폭력을 유발할 거라고 벌벌 떠는 척을 한다. 개소리에 불과하다. 영화는 폭력을 양산하지 않는다. 대조적으로, 영화는 폭력을 묘사하고, 보는 이로 하여금 폭력의 위험에 대해 일깨워준다.


As it is always the case, some politically correct people feared that the film used racist clichés and celebrates violence. It is also unfair. One of the most interesting positions was that of Michael Moore, a leftist documentarist, who celebrated the film as an honest depiction of reality of those poor, excluded and not covered by healthcare in the US.

늘 그래왔듯이, 정치적 올바름을 따르는 이들은 인종차별적인 클리셰를 쓰고 폭력을 찬양하는 꼴을 보인 것에 대해 두려워했다. 이 또한 공정하지 않다. 가장 흥미로운 의견은 좌파 다큐멘터리 감독인 마이클 무어의 것이었는데, 그는 건보로부터 제외되고 보장받지 못하는 현실 속 빈자에 대한 정직한 묘사를 상찬했다.


His idea is that the film explains how figures like Joker can arise. It is a critical portrayal of reality in the US, which can give birth to people like Joker. I agree with him but I would also like to go a bit further.

그의 아이디어는 조커 같은 종자가 어떻게 생겨날 수 있었는지에 대해 설명해낸다. 이 영화는 조커 같은 이를 낳게 한 미국의 현실에 대한 비평적 초상이다. 나는 그에게 동의하는 바이며, 여기서 약간 더 나아가 보고자 한다.




'Deadlock of nihilism'

엉켜 있는 허무주의



I think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figure of Joker in the end, when he identifies with his mask, is a figure of extreme nihilism, self-destructive violence and a crazy laughter at others' despair. There is not positive political project.

생각건대 중요한 것은 최종적으로 그의 꼴이 어떠한가에 있다. 그가 마스크를 쓰고 있을 때 그는 극단적 허무주의의 양상, 자기파괴적 폭력, 타인의 절망에 대한 광소 따위로 규정된다. 여기에 정치적으로 긍정적인 계획은 존재하지 않는다.



The way we should read 'Joker' is that it very wisely abstains from providing a positive image. A leftist critique of 'Joker' could have been: "Yes, it is a good portrayal of reality in the poor slums of the US but where is the positive force? Where are democratic socialists, where are ordinary people organizing themselves?" In this case, it would have been a totally different and a pretty boring film.

'조커'를 읽는 길은 긍정적인 해석을 삼가는 방향에 있다. 좌파 비평가들은 '조커'를 두고 "그렇다, 영화는 미국의 빈자소굴에 대한 좋은 초상이 된다. 하지만 어디에 긍정적인 힘이 있나? 사민주의자들은 어디에 있으며, 자생적 조직은 어디에 있는가?" 하고 묻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영화는 참 다르게 보일 것이고, 참으로 지루하게 비칠 것이다.



The logic of this film is that it leaves it to the spectators to do this. The movie shows sad social reality and a deadlock of the nihilist reaction. In the end, Joker is not free. He is only free in a sense of arriving at a point of total nihilism.

이 영화가 가진 논리는 관중으로 하여금 그렇게 하도록 내버려 둔다. 영화는 슬픈 사회적 현실을 비추고 교착 상태에 놓인 허무주의자의 반응을 보여준다. 끝까지 조커는 자유롭지 못하다. 완전한 허무주의의 영역에 놓일 때에나 그는 자유로울 수 있을 뿐.


I designated the figure of Joker in a kind of Kazimir Malevich, the Russian avangardist, position when he did this famous painting of the Black Square. It is a kind of minimal protest – a reduction to nothing. Joker simply mocks every authority. It is destructive but lacks a positive project. We have to go through this path of despair.

나는 조커의 형상을 러시아의 아방가르드 화가 Kazimir Malevich의 지점에서 바라본다. 그가 그 유명한 '검은 광장'을 그릴 때의 위치에서. 이는 아주 소심한 시위이다. 아무것도 재생산하지 않는- 조커는 간단하게 모든 권위를 조롱한다. 파괴적이나, 긍정적인 측면은 부재한다. 절망으로 가득한 이 길을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It is not enough to play the game of those in power. That is the message of 'Joker'. The fact that they could be charitable like Bruce Wayne's father in this latest movie is just a part of the game. You have to get rid of all these liberal stupidities that obfuscate the despair of the situation.

권력 게임 놀음으로는 부족하다. 조커의 메시지는 여기에 있다. 브루스 웨인의 애비가 던지는 알량한 자선은 그저 권력 게임의 일부일 뿐이다. 망한 나라를 애매한 방향으로 어그러뜨리는 멍청한 리버럴 새끼들을 내다 버려야 한다.



Yet, it is not the final step but a zero level of clearing the table to open up the space for something new. This is how I read the film. It is not a final decadent vision. We have to go through this hell. Now, it is up to us to go further.

하지만 아직 마지막 단계는 아니다. 논의를 영점으로 돌리고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한 단계일 뿐이다. 이것이 내가 영화를 읽는 방식이다. 여기가 'Endgame'이 아니다. 이 고통을 뚫고 나가야 한다. 그래야 새 지평을 열 수 있는 것이다.




Social alarm clock

사회적 경종




The danger of explaining just the backstory is to give a kind of a rational explanation that we should understand the figure of Joker. But Joker does not need this. Joker is a creative person in some sense. The crucial moment in the film for his subjective change is when he says: "I used to think my life was a tragedy. But now I realize, it's a comedy."

단지 배경만을 설명하는 위험은 조커를 이해해야만한다는 합리적인 해석을 내어 놓는다. 그러나 조커는 이런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조커는 어떤 측면에서 참으로 창의적인 인물이다. 그의 주관이 변하는 순간은 이 말을 내 뱉은 때이다. "내 인생이 비극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냥 한 편의 희극에 불과했어."



Comedy means for me that at that point he accepts himself in all his despair as a comical figure and gets rid of the last constraints of the old world. That is what he does for us. He is not a figure to imitate. It is wrong to think that what we see towards the end of the film – Joker celebrated by others – is the beginning of some new emancipatory movement. No, it is an ultimate deadlock of the existing system; a society bent on its self-destruction.

내 보기에 이 코미디라는 것은 아서가 그의 모든 절망을 유머로 받아들이고 구 체제의 마지막 남은 제약들을 없애버린 지점을 일컫는다. 이것이 그가 우리를 위해 행한 일이다. 그는 무언가를 흉내내지 않는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 조커가 대중들에게 추앙받는 장면을 압제로부터 해방되는 장면이라 생각하는 건 무척 잘못된 해석이다. 해방 같은 게 아니다, 존재의 해소 불가능한 교착 상태일 뿐이다. 자기파괴에 매달리게 되는 사회.



The elegance of the film is that it leaves the next step of building a positive alternative to it to us. It is a dark nihilist image meant to awaken us.

이 영화의 아름다운 점은 이후의 일을, 긍정적 대안을 내는 일을 우리에게 남겨두었다는 데에 있다. 이 허무주의자의 양태가 우리를 일깨운다.




Are we ready to face reality?

우리는 현실을 마주할 준비가 되었는가?




The leftists who are disturbed by 'Joker' are 'Fukuyama leftists'; those who think that the liberal democratic order is the best possible order and we should just make it more tolerant. In this sense, everyone is a socialist today. Bill Gates says he is for socialism, Mark Zuckerberg says he is for socialism.

조커를 두려워하는 좌파들은 대개 프랜시스 후쿠야마를 추종하는 이들이다. 이 사람들은 자유민주주의적 질서가 최선이라 여기며 이 체제를 보다 관용적으로 만들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우린 모든 사람들을 사회주의자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빌 게이츠도, 마크 주커버그도 사회주의에 찬동한다 말한다.



The lesson of 'Joker' is that a more radical change is needed; that this is not enough. And that is what all those democratic leftists are not aware of. This dissatisfaction that grows up today is a serious one. The system cannot deal with it with gradual reforms, more tolerance or better healthcare.

조커의 교훈은 더욱 급진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데 있다. 지금 하는 꼴론 부족한 것이다. 민주주의를 추종하는 좌파들이 전혀 깨닫지 못하고 있는 점이다. 현대사회에 증식하는 이 불만족은 무척이나 심각한 것이다. 더 많은 관용, 더 나은 의료복지 등의 보편적인 개혁을 단행하면서 시스템이 이 문제를 잡길 원한다면 참으로 어불성설이다.



These are signs of the need for more radical change.

영화는 급진적 변화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는 징후이다.



The true problem is whether we are ready to really experience the hopelessness of our situation. As Joker himself said at a certain moment in the film: "I laugh because I have nothing to lose, I am nobody."

진짜 문제는 우리의 이 절망적인 상황을 맞닥뜨릴 준비가 되어 있느냐이다. 조커가 말했듯, "나는 더는 잃을 게 없어서 웃어, 나는 아무것도 아니야."



There is also a clever name game here. Joker's real family name is Fleck. In German, fleck is a stain, a meaningless stain. It is like anamorphosis. We need to take a different look to see a new perspective.

영화엔 재미있는 이름 장난질이 있기도 하다. 조커의 진짜 성은 플렉-얼룩이다. 독일어로도 이는 얼룩이다. 의미 없는 얼룩. 왜곡된 상과도 같다. 새로운 관점을 취하기 위해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I do not trust all those leftist critics who are afraid of its potential. As Moore put it very nicely, you are afraid of violence here, not of real violence in our daily life. To be shocked by violence depicted in the film is just an escape from real violence.

나는 이 영화가 가진 바를 두려워 하는 좌파 평론가들을 신뢰할 수 없다. 무어가 잘 지적했듯, 당신들은 여기, 이 곳에 있는 폭력을 두려워하고 있다. 우리 일상에 있는 폭력이 아니라. 영화 속에 묘사된 폭력에 벌벌 떠는 건 현실의 폭력에서 달아나는 일에 불과하다.







슬라보예 지젝의 조커 리뷰2.

http://myheartwillgoonandsoonandsoon.blogspot.com/2019/11/slavoj-zizek-more-on-joker.html?m=1


From Apolitical Nihilism to a New Left, or Why Trump is no Joker


비정치적인 허무주의에서 신좌파로, 혹은 왜 트럼프는 조커가 아닌가.


One should begin by expressing admiration for a Hollywood, in which it is possible to make a film like Todd Phillips’ Joker, and for the public that turned it into a mega blockbuster. However, the reason for the film’s popularity resides in its meta-fictional dimension: it provides the dark genesis of the Batman story, a genesis that has to remain invisible for the Batman myth to function. Let’s try to imagine Joker without this reference to the Batman myth, just as the story of a victimized kid who adopts the mask of a clown to survive his predicament. It simply wouldn’t work, as it would have been just another realist drama. Recall, also, that Time Out characterized Joker as “a truly nightmarish vision of late-era capitalism,” and categorized it as a “social horror film.” That is something unimaginable till recently: a combination of two genres perceived as totally disparate, the realist depiction of social misery and fantasized horror, the combination which, of course, only works when social reality acquires the dimensions of horror fiction. *[1] 


시작하기에 앞서 조커 같은 영화를 만들 수 있는 할리우드와 이 영화를 대흥행작으로 만드는 대중에게 찬사를 표한다. 하지만 영화의 인기는 배트맨 신화가 생존하도록 하는 보이지 않는 어두운 기원에 근거하고 있다. '조커'가 배트맨이라는 기반이 없는 채로 존재한다고 생각해보자, 이야기는 그저 어려움에서 도피하기 위해 광대의 얼굴을 뒤집어 쓴 불우한 애새끼의 것으로 영락한다. 이것은 이야기로서 기능할 수 없다. 그저 도처에 산재한 현실적인 드라마 나부랑이가 될 뿐. 또, <타임 아웃>은 조커를 후기 자본주의의 진정한 악몽이니, 사회적 공포 장르의 영화라느니 하는 식으로 규정한다. 최근까지 이는 상상하기 어려운 견해였다. 완전히 이격된 두 장르의 결합-과장된 공포와 사회적 불운의 현실적인 결합, 결합은 물론, 현실이 호러의 자리를 차지할 때 기능할 수 있을 뿐이다.*[1]
비정치적인 허무주의에서 신좌파로, 혹은 왜 트럼프는 조커가 아닌가.


*[1]It is obvious that Joker is also a case of meta-fiction: it provides the genesis of the Batman story, a genesis that has to remain invisible for the Batman myth to function – but we’ll ignore this aspect here.

조커가 메타 픽션의 갈래인 건 명백하다. 이는 배트맨 이야기에 기원을 제공하고, 기원은 배트맨 신화를 기능하게 하기 위해 보이지 않는 채로 남아 있다. 하지만 이 지면에서는 이러한 양상을 무시하도록 한다.



The three main stances towards the film in our media perfectly mirror the tripartite division of our political space. Conservatives worry that it may incite viewers to acts of violence. Politically Correct liberals discerned in it racist and other clichés (already in the opening scene, a group of boys who beat Arthur appear black), plus also an ambiguous fascination with blind violence. Leftists celebrate it for faithfully rendering the conditions of the rise of violence in our societies. But does Joker really incite spectators to imitate Arthur’s acts in real life? Emphatically no, for the simple reason that Arthur-Joker is not presented as a figure of identification. In fact, the whole film works on the premise that it is impossible for us, viewers, to identify with him. He remains a stranger up to the end.

영화에 대한 미디어의 주된 세 가지 흐름은 우리 사회의 세 가지 정치적 영역에 따라 정확히 삼등분된다. 수꼴들은 사람들이 이걸 따라할까 무서워하고, PC충들은 영화에서 인종차별주의와 여러 클리셰(앞부분에서 흑인 소년들이 아서를 줘팬다.)를 발견한다. 더하여 불특정 다수 대상 범죄에 대한 애매한 환상까지. 좌빨들은 폭력이 늘어나는 사회조건을 충실히 보여줬다며 좋아라들 한다. 그러나 조커가 정녕 사람들로 하여금 아서의 행동을 따라하게 하는가? 현실에서? 당빠 그럴리 없음이다. 이유는 단순하다. 아서-조커는 별로 이입할 만한 인물이 아니다. 사실, 영화 전체가 이게 말이 안 됨을 전제로 작동하고 있다. 이 새끼는 그냥 끝까지 남일 뿐이다.


Before Joker was released, media already warned the public that it may incite violence. The FBI itself specifically warned that the film may inspire violence from Clowncels, an Incel subgroup obsessed with clowns such as Pennywise from It and Joker. (There were no reports of violence inspired by the film.) After the film was released, critics were not sure how to categorize it. Is Joker just a piece entertainment (as is the entire Batman series), an in-depth study of the genesis of pathological violence, or an exercise in social criticism? From his radical Leftist standpoint, Michael Moore found Joker to be “a timely piece of social criticism and a perfect illustration of the consequences of America’s current social ills.” When it explores how Arthur Fleck became Joker, it brings out the role of bankers, the collapse of healthcare, and the divide between rich and poor. Moore is therefore right to mock those who feared the film’s release: “Our country is in deep despair, our constitution is in shreds, a rogue maniac from Queens has access to the nuclear codes — but for some reason, it’s a movie we should be afraid of. /…/ The greater danger to society may be if you DON’T go see this movie. /…/ This movie is not about Trump. It’s about the America that gave us Trump — the America which feels no need to help the outcast, the destitute.” Consequently, “the fear and outcry over Joker is a ruse. It’s a distraction so that we don’t look at the real violence tearing up our fellow human beings — 30 million Americans who don’t have health insurance is an act of violence. Millions of abused women and children living in fear is an act of violence.”

조커가 나오기도 전에 벌써 미디어들은 이 영화가 폭력선동 영화일 거라고 떠들어 댔었다. FBI는 인셀 새끼들 나대지 말라고 경고도 했었고.(물론 영화에 영감 받고 폭력행위를 저질렀다는 얘긴 없다.) 영화가 세상에 나온 후에, 비평가들은 이걸 어떤 카테고리에 넣을지 확신하지 못했다. 그냥 배트맨 시리즈의 찌꺼기로 오락영화인가, 병리학적 폭력의 근원을 찾는 깊이 있는 연구인가, 아니면 그냥 비평가 꼰대질일뿐인가? 급진좌파적 시각에서 마이클 무어는 조커를 "사회 비평의 공시적 조각이며 미국이 앓고 있는 사회적 질병의 결과에 대해 완벽하게 묘사한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아써 플렉이 어케 조커가 되는지 좀 살펴본다면, 의료복지 붕괴, 은행원(*총 맞은 친구들)들의 역할, 빈부격차에서 이 꼴이 나온 걸 알 수 있다. 무어는 그래서 영화를 두려워한 이들을 조롱한다. "미국은 깊은 절망 속에 있고, 구조는 붕괴되어 있다. 퀸즈에서 온 미친놈은 핵무기에 접근할 권한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몇 가지 이유에서, 이 영화는 두려워할 만하다. /…/ 우리 사회에 있어 가장 위험한 건 너 새끼들이 이 영화를 보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 이 영화는 트럼프 얘기는 아니다. 트럼프가 만들어 낸 미국에 대한 이야기이다. 소외되고 가난한 이들을 도울 필요 없다고 여기는 미국에 대한." 결과적으로, "<조커>에 대한 개지랄들은 전부 정략이다. 이는 우리가 동료 시민들로부터 눈을 떼고 외면하도록 획책하는 수작질에 지나지 않는다. 의료보장을 전혀 받지 못하는 3천만의 미국인의 존재 자체가 현실의 폭력이다. 수백만의 학대받는 여성과 아이들이 폭행의 공포 아래 살고 있다."



However, Joker does not only depict this America, but it also raises a “discomfiting question”: “What if one day the dispossessed decide to fight back? And I don’t mean with a clipboard registering people to vote. People are worried this movie may be too violent for them. Really? Considering everything we’re living through in real life?” In short, the film tries to “understand why innocent people turn into Jokers after they can no longer keep it together”: rather than felt incited to violence, a spectator “will thank this movie for connecting you to a new desire — not to run to the nearest exit to save your own ass but rather to stand and fight and focus your attention on the nonviolent power you hold in your hands every single day.” *[2]

하지만, 조커가 단지 미국의 현실만 묘사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영화는 한 가지 불편한 명제를 던져준다. "언젠가 빈자들이 이러한 불평등에 맞서기 시작한다면? 이는 그저 투표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사람들은 이 영화가 그런 사람들에게 참으로 폭력적일 수 있다 말한다. 정말로 그러한가? 우리 삶의 모든 것을 고려해보아도, 정말로 그러한가?" 짧게 말해 영화는 "순박한 사람들이 삶을 함께 꾸려 나가지 못하게 되면 이내 조커 같은 부류로 변하고야 마는지에 대한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폭력에 선동되었다고 여기는 것보다 관중은 "당신 똥꼬나 지켜줄 가장 가까운 출구를 찾게하기보단 맞서서 싸우고 매 순간 당신 손 안에 쥐고 있는 비폭력적인 이너파워에 집중하게 하는-새로운 욕구로 당신을 연결해준 이 영화에 감사하게 될 것이다." *[2]


*[2] Quoted from https://www.good.is/the-five-most-powerful-lines-from-michael-moores-masterful-joker-review.

But does it really work like that? The “new desire” Moore mentions is not Joker’s desire: to see this, one has to introduce here the psychoanalytic distinction between drive and desire. Drive is compulsively-repetitive; in it, we are caught in the loop of turning again and again around the same point, while desire enacts a cut, opening up a new dimension. Joker remains a being of drive: at the film’s end, he is powerless, and his violent outbursts are just impotent explosions of rage, actings-out of his basic powerlessness. In order for the desire described by Moore to arise, one step further is needed. An additional change of subjective stance is to be accomplished if we are to pass from Joker’s outbursts to becoming the one able to “stand and fight and focus your attention on the nonviolent power you hold in your hands every single day.” When you become aware of this power you can renounce brutal bodily violence. The paradox is that you become truly violent, in the sense of posing a threat to the existing system, only when you renounce physical violence.

그렇지만 정말로 그렇게 될까? 무어가 언급한 "새로운 욕구"란 조커의 것이 아니다. 추동과 욕구 사이의 정신분석학적 차이를 한 번 알아보자. 추동은 강박적인 반복이다. 욕구가 절단면을 만들어 새 차원을 여는 중에 우리는 추동 속 같은 지점을 계속해서 맴돌게 된다. 조커는 추동 속의 존재로 남아 있을 뿐이다. 영화의 끝에서 그는 무력하다. 폭력적 행동이 터져나오는 것은 그저 분노의 무기력한 표출에 지나지 않으며, 근본적인 무력함이 행동으로 나타난 것이다. 무어가 언급한 욕구가 표출되기 위해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갈 필요가 있다. (주관적) 태도의 변화는 우리가 조커의 분노에서 "비폭력 저항"으로 나아가는 존재가 될 때에 비로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힘(욕구)을 인지하는 순간 당신은 폭력을 내려놓을 수 있다. 물리적 폭력을 내려놓으며 당신이 시스템에 위협이 되는 존재로 변할 때에, 역설적으로 당신은 진정으로 폭력적인 인간이 된다.



This does not mean that Joker’s act is a dead-end to be avoided. It is rather a kind of Malevich-moment, reduction to the zero point of a minimal frame of protest. Malevich’s famous black square on white surface is not some kind of self-destructive abyss we should beware of in order not to be swallowed by it, but a point through which we should pass to gain a new beginning. It is the moment of death-drive, which opens up the space for sublimation. And in the same way that, in his minimalist paintings like Black Square, Malevich reduced a painting to its minimal opposition of frame and background, Joker reduced protest to its minimal content-less self-destructive form. An additional twist is needed to pass from drive to desire, to leave behind the nihilist point of self-destruction, to make this zero-point function as a new beginning. However, the lesson of Joker is that we have to go through this zero-point to get rid of the illusions that pertain to the existing order.

조커의 행동이 피할 수 없는 막다른 골목이라는 뜻이 아니다. 이는 오히려 말레비치적 순간에 가까운데, 저항의 영점으로 이르는 감소를 뜻한다. 말레비치의 하얀 표면 위 검은 광장은 먹히지 않도록 조심해야만 하는 종류의 자기파괴적 심연이 아니다. 이는 우리가 새로운 시작을 얻기 위해 지나쳐야 하는 지점을 의미하고 있다. 검은 광장은 승화*의 공간을 열어제끼는죽음 충동*의 순간을 형상화한 것이다. 같은 방향에서 미니멀리스트적인 회화에서 말레비치는 액자와 배경의 위치를 최소한으로 축소시켰고, 조커는 저항을 내용 없는 자기파괴의 형태로 추락시켰다. 추동에서 욕망으로- 허무주의자의 자기파괴적 지점을 지나 새로운 시작으로서 기능하는 영점을 만들기 위해 추가적인 전환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조커의 교훈은 우리가 현존하는 질서를 없애기 위해 이 영점을 지나야만 한다고 말하는 데 있다.

*욕망의 대상을 큰 차원으로 이끔
**정신분석학의 타나토스, 라캉의 경우 이를 이드로 이르기 위한 현실원리로 해석함.


Among other things, our immersion into the dark world of Joker cures us of Politically Correct illusions and simplifications. In this world, one cannot take seriously the idea that mutual consent to engaging in a sexual relationship makes it… truly consensual: “the ‘consent discourse’ is itself a huge sham. It is a naive effort to overlay a neat-and-tidy intelligible egalitarian language of social justice over the dark, discomforting, relentlessly cruel, traumatic realm of sexuality. People do not know what they want, they are disturbed by what they desire, they desire things that they hate, they hate their fathers but want to fuck their fathers, they hate their mothers but want to fuck their mothers, and so on, for eternity.” One can easily imagine Joker reacting with wild laughter to the claim that “it was consensual, so it was OK” – that’s how his mother ruined his life… And in the same way that Joker (a victim of violence par excellence) would have dismissed consent as a justification, he would have dismissed the idea that it is rape if someone lies about their identity to get someone into bed:

무엇보다도, <조커>의 어두운 세계관에 대한 우리의 몰입은 '정치적으로 올바른' 환상과 단순화를 치료한다. 이 세계에선 누구도 성적 관계에 있어서의 상호합의가 진정한 동의를 이끌어낸다는 생각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합의된 성관계'란 커다란 헛소리에 불과하다. 불편하고 가혹하고 어두우며 트라우마의 왕국에 속한 성애의 영역에 번듯하고 이해하기 편한 언어로 구성된 평등주의자들의 사회적 정의를 덧씌우려는 시도는 헐렁한 노력일 뿐이다. 사람들은 스스로 무엇을 원하는지 알지 못하며, 그들의 욕망에 의해 원하는 바를 방해받으며, 그들이 혐오하는 것을 선망하며, 그들의 아비를 싫어하나 애비를 따먹고 싶어하며, 그들의 어미를 싫어하나 애미를 따먹고 싶어하며, 영영 그러한 상태에 놓여 있다." 누구든 조커가 "이건 합의된 거야, 그러니 옳아." 라고 하는 주장에 한 번 크게 웃고 치울 거란 걸 알 수 있다. 이게 그 어미가 그를 망쳐버린 방식이다. 조커가 합의를 정당화로 일축해버릴 방식과 동일하게, 그는 다른 이를 침대에 눕히기 위해 제 정체성을 속인다면 그것은 강간이라는- 그러한 생각을 일축해버렸을 것이다.



“Of course, outright fraud is bad, it is bad for people to lie to each other, to exploit each other. But aren’t we all always already lying to ourselves, lying to others, making ourselves out to be people we aren’t, pretending to be ‘real men’ when in fact we are just pathetic worms, lying that we aren’t fantasizing about having sex with someone hotter than our partners, and so on? It would be an exception to actually, for once, tell the ‘truth’ out of the endless swirling vortex of fragmented and incomplete truths that we tell ourselves just to get out of bed every day, just to be able to actually understand each other.” *[3]

"물론 노골적인 사기행각은 나쁘지, 서로 이용해먹으려고 거짓말 하는 사람들도 나쁘고. 하지만 우리는 이미 우린 늘 스스로에게, 남에게 거짓말을 하면서 살고, 그렇지 않은 것처럼 보이려고 애쓰는 한심한 벌레 새끼에 불과한데도 '진짜 사람'인 것처럼 꾸미려 애쓰지. 지금 파트너보다 더 나은 사람이랑 섹스하고 싶어하는 판타지를 가지지 않은 척 거짓말 하면서- 그리고? 매일 아침에 일어나려고, 그냥 말 그대로 서로를 이해시키려고 말하는, 불완전하고 파편화된 끝없는 소용돌이로부터 도출된 '진실'을 말하는 것 따윈 예외라 할 수 있겠지."*[3]

*[3] Mike Crumplar, personal communication.


In short, sex is the exemplary domain of lies… This zero-point is today’s version of what was once called a proletarian position, the experience of those who have nothing to lose, or, to quote Arthur from the film: “I’ve got nothing left to lose. Nothing can hurt me anymore. My life is nothing but a comedy.” This is where the idea that Trump is a kind of Joker in power finds its limit: Trump definitely did not go through this zero-point. He may be an obscene clown in his own way, but he is not a Joker figure: it’s an insult to Joker to compare him with Trump. In the film, Wayne the father is a “joker” in the simple sense of an agent who displays the obscenity of power.

쉽게 말해 성(性)은 거짓의 범례이다. 영점은 잃을 게 전혀 없는 상태의 경험을 가졌거나 아서가 영화에서 했던 말 : "나는 잃을 게 없어. 더는 누구도 내게 상처를 줄 수 없는 거야. 내 삶은 코미디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냐." 즉, 프롤레타리아의 위치로 불렸던 것의 오늘날의 형태이다. 이는 트럼프가 권력을 가진 조커라는 생각에서 한계를 찾을 수 있는 지점이다. 트럼프는 이 영점을 지나지 않는다고 확언할 수 있다. 그는 그 자신의 정치적 방향 위에서는 터무니없는 광대일지 모르나, 조커와는 다르다. 조커와 트럼프를 비교하는 건 조커에 대한 모독이다. 영화에서 아버지 웨인은 권력의 외설을 보여주는 단순한 요소로서 "조커(카드?)"이다.



Now we can see where M.L. Clark goes ridiculously wrong when he reads my own philosophy as a version of Joker’s nihilist stance: “Žižek’s Hegelian-philosophy-meets-flimsy-pop-science relentlessly insists that the only objective reality is not the Nothingness from which Something was created, but rather the tension between the true nothing-burger underpinning existence, and the moral depravity of our every, inevitable attempt to impose meaning upon it.” In short, for me, the basic ontological fact is the tension between the ultimate meaningless void/crack and our (humanity’s) attempts to impose some universal meaning onto this chaotic crack. Such a position is nothing special: it simply reproduces a certain existential humanism which perceives humans as beings who heroically endeavor to impose some meaning onto the chaos of the world into which we are thrown. However, according to Clark, here I make a step further in the Joker direction: since all attempts to impose meaning onto the primordial chaotic Void obfuscate this void and are thus hypocritical, i.e., since they escape from the basic nonsense of existence, they are acts of moral depravity – or, to bring this point to the extreme, morality itself (attempts to impose a universal meaning onto reality) is a form of moral depravity. The only consequent moral stance is thus the one of full nihilism, of joyfully endorsing the violent destruction of every attempt to impose a moral order onto our chaotic life, of renouncing every universal humanist project that would enable us to surmount our discords:

이제 우리는 M.L Clark*이 어디에서 조커의 허무주의적 지점의 잘못된 방향으로 내 철학을 독해했는가 알 수 있다. "엉성한 대중문화와 결합한 지젝의 헤겔철학은 오직 하나뿐인 실재는 창조된 무의미가 아니라 존재를 뒷받침하는 공허와 우리 모두의 도덕적 해이, 여기에 의미를 부여하려는 필연적인 시도 사이의 긴장이라고 끊임없이 역설한다." 간단히 말해, 내게는, 기초적인 존재론적 진실은 궁극적인 무의미한 공허/균열과 우리 인간성이 이 혼란스러운 균열 위에 어떤 보편적인 의미를 부여하려는 시도 사이의 긴장이다. 이같은 입장은 그다지 특별한 것도 아니다. 이는 우리가 던져진 세계의 혼돈 속에 의미를 부여하려는 영웅적인 노력을 경주할 수 있는 존재로 인간을 인지하는 확고한 존재론적 인본주의를 재생산한다. 하지만 Clark에 따르면, 나는 여기서 조커의 방향 쪽으로 한 발 더 나아가게 된다. 시원의 혼란스러운 공허에 의미를 부여하려는 모든 시도가 이 공허를 혼란스럽게 만드므로 위선적이다. 즉, 존재의 기본적인 역설로부터 벗어나려고 하기 때문에 이들은 도덕적 결함이 있는 행동을 하게 된다. 혹은, 이 지점을 극단으로 끌어내기 위해 (우리 실재에 보편적 의미를 부여하려는 시도로서) 도덕성 그 자체가 도덕적 해이의 형태가 되어 버린다. 따라서 유일한 도덕적 입장은 우리의 불화를 극복할 수 있게 해 주는 모든 보편적 인본주의적 기획을 포기하게 하며, 우리의 혼란스러운 삶에 이정표 하나 세우려는 모든 시도를 파괴하는 폭력을 즐겁게 지지하는 완전한 허무주의뿐이다.

*https://www.patheos.com/blogs/anotherwhiteatheistincolombia/2019/10/tribelessness-secular-zizek-joker/
해당 문단은 이 글에 대한 반박


“no matter how much we might want to insist that our shared humanity is stronger than our momentary discords and our abiding individual differences /…/ the Jokers and Žižeks are never quite going to be persuaded. Their respective ideological frameworks require them to keep pointing to the social tensions that remain: the chaos that will always be a part of our collective press towards a better-synthesized societal whole.”*[4]

"우리가 공유하는 인간성이 순간적인 불화나 지속적인 개인차보다 강한지 아무리 주장하고 싶어도 지젝과 <조커>는 설득될 리가 없다. 그들의개개의 이념 체계는 이를 남아 있게 할 수 있는 사회적 긴장을 계속적으로 지적하곤 한다. 이 긴장이라는 것이 항상 더 나은 사회를 조직하고자 하는 집단적 압력의 역할을 수행하는 혼란이다."*[4]

*[4] https://www.patheos.com/blogs/anotherwhiteatheistincolombia/2019/10/tribelessness-secular-zizek-joker/.


I, of course, consider this stance of radical nihilism not only totally at odds with my clear political engagements but also self-contradictory: it needs its fake-moral opponent to assert itself in its nihilistic destruction and in the unmasking of its hypocrisy. Therein resides the limit of all the desperate attempts to reverse tragedy into triumphant comedy practiced by Incels, Clowncels and Joker himself who, just before shooting Murray, his TV host, tells him: “Have you seen what it’s like out there, Murray? Do you ever actually leave the studio? Everybody just yells and screams at each other. Nobody’s civil anymore! Nobody thinks what it’s like to be the other guy. You think men like Thomas Wayne ever think what it’s like to be someone like me? To be somebody but themselves? They don’t. They think that we’ll just sit down and take it like good little boys! That we won’t werewolf and go wild!” The assertion of joyful destruction remains parasitic on this complaint. Joker doesn’t go “too far” in the destruction of the existing order; he remains stuck in what Hegel called “abstract negativity,” unable as he is to propose its concrete negation.

물론 나는 이 같은 급진적 허무주의의 입장을 나의 정견과는 완전히 다르다고 여기며 또한 자기모순적이라고 생각한다. 급진적 허무주의는 허무주의적 파멸을 주장할 수 있도록 해 주고 그 위선을 벗길 수 있게끔 해 주는 허구의 도덕적 상대를 필요로 한다. 그안에는 개인적인 비극을 인셀, 클라운셀, 머레이를 쏘기 전의 조커가 연습해 만든 승리한 코미디로 반전시키려는, 모든 필사적인 시도의 한계가 기거하고 있다. 그는 머레이에게 이렇게 말한다. "저 밖에 나가 본 적이 있어, 머레이? 스튜디오를 떠나 본 적이 있기는 한가? 저 밖의 모두가 서로에게 소리치고 비명을 지르고 있다고. 아무도 예의를 지키지 않아! 아무도 다른 놈에게 어떻게 굴어야 하는지 생각하지 않는다고. 토마스 웨인 같은 놈이 나 같은 놈이 되는 게 어떤 일인지 생각이나 해본 적 있을까? 그놈들이? 절대 그럴 리 없지. 그저 착한 애새끼처럼 주저앉아 모든 걸 받아들일 거라고 생각하지! 늑대인간이 되어 날뛸 거라고 여기지 않으니까!" 즐거운 파멸의 주장이 여전히 이 불만에 기생충처럼 남아 있다. 조커는 현존하는 질서를 파괴하는 일에 있어 그리 "멀리" 가지는 않는다. 그는 헤겔이 "추상적 부정성"*이라 말한 지점에 멈춰있으며, 구체적인 부정성을 제안할 수 없다.

*헤겔의 부정성 개념은 절대적 자유로 가기 위한 발판의 역할을 함. 조커의 현상태는 이 부정성을 완전히 이루지 못한, 이전의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지젝은 주장하는 듯함.


Insofar as the Freudian name for this negativity is death-drive, we should thus be careful not to characterize Trump’s self-destructive defense against the attempts to impeach him as manifestations of death-drive.*[5] Yes, while Trump rejects the accusations, he simultaneously confirms (and even boasts with) the very crimes he is accused of and breaks the law in his very defense. But does he not thereby just enact (more openly than usual, true) the paradox that is constitutive of the rule of law, i.e., the fact that the very agency that regulates the application of the law has to exempt itself from its reign?

이 부정성을 프로이트적 명칭인 죽음충동으로 부르는 한, 탄핵 시도에 대한 트럼프의 방어를 죽음충동의 징후로 여기지 않기 위해 각별히 주의해야만 한다. 그렇다, 트럼프가 기소를 거부하는 동안, 동시에 그는 바로 그 범죄를 확인했다.*[5] 그렇다, 트럼프는 혐의를 부인하는 동시에 연루된 범죄로 비난을 받고 이에 대한 방어를 하면서도 위법을 하고 있다. 하지만 그는 그리함으로써 그저 법치의 근간-법을 만든 그 기관이 법치의 영역으로부터 면제되는 역설만을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은 아닌가?

*[5] See https://www.lrb.co.uk/v41/n20/judith-butler/genius-or-suicide.



So, yes, Trump is obscene in acting the way he acts, but in this way he merely brings out the obscenity that is the obverse of the law itself; the “negativity” of his acts is totally subordinated to (his perception of) his ambitions and well-being. He is far from the self-destruction of the existing order enacted by Joker. There is nothing suicidal about Trump’s boasting about his breaking the rules. It is simply part of his message that he is a tough-guy president beset by corrupt elites and boosting the US abroad, and that his transgressions are necessary because only a rule-breaker can crush the power of the Washington swamp. To read this well-planned and very rational strategy in terms of death-drive is yet another example of how it is Left liberals who are really on a suicidal mission, giving rise to the impression that they are engaged in bureaucratic-legal nagging while the President is doing a good job for the country.

그렇다, 트럼프는 엽기적인 행동을 일삼지만, 이런 식으로 단지 그는 법 자체를 역행하는 터무니없는 결과만을 이끌어낼 뿐이다. 그의 행동의 "부정성"은 그의 야망과 행복에 완전히 종속되어 있다. 조커가 세운 존재론적 명령으로서 자기파괴는 그에게서 터무니없이 멀다. 질서를 어기는 것을 자랑하는 트럼프에게는 어떤 자기파괴적 징후도 없다. 이런 일들은 그가 해외로 미국을 촉진할 수 있고, 부패한 엘리트들에게 괴롭힘을 당하는 대통령이며, 꼭 해야만 하는 월권행위들이 있는 이유는 오직 규칙을 깨는 사람만이 워싱턴 정가라는 복마전을 쓸어낼 수 있기 때문-이라는 간단한 메세지의 일부일 뿐이다. 이처럼 합리적이고 잘 짜인 전략을 죽음 충동의 언어로 읽는 것은 대통령이 나랏일을 잘 하는 중에 관료적이고 합법적인 위치에서 잔소리를 하는 것 같은 인상을 주는 좌파 리버럴들의 또 다른 예가 될 뿐이다.


In Christopher Nolan’s The Dark Knight, Joker is the only figure of truth. The goal of his terrorist attacks on Gotham City is made clear: they will stop when Batman takes off his mask and reveals his true identity. What, then, is Joker who wants to disclose the truth beneath the Mask, convinced that this disclosure will destroy the social order? He is not a man without mask, but, on the contrary, a man fully identified with his mask, a man who IS his mask. There is nothing, no “ordinary guy,” beneath his mask. This is why Joker has no back-story and lacks any clear motivation: he tells different people different stories about his scars, mocking the idea that he should have some deep-rooted trauma that drives him. It may appear that Joker aims precisely at providing a kind of socio-psychological genesis of Joker, depicting the traumatic events which made him the figure he is.*[6] The problem is that thousands of young boys who grew up in ruined families and were bullied by their peers suffered the same fate, but only one “synthesized” these circumstances into the unique figure of Joker. In other words, Joker is the result of a set of pathogenic circumstances, but these circumstances can be described as the causes of this unique figure only retroactively, once Joker is already here. In one of the early novels about Hannibal Lecter, the claim that Hannibal’s monstrosity is the result of unfortunate circumstances is rejected: “Nothing happened to him. He happened.”

놀란의 <다크 나이트>에서 조커는 진실을 대변할 뿐이다. 고담 시티에 대한 테러의 의도는 명료하다. 조커와 그 무리들은 배트맨이 그의 가면을 벗고 그의 진실된 정체성을 밝히는 순간 멈추게 될 것이다. 뭐, 그러면, 조커는 마스크 아래에 있는 진실을 폭로하기를 바라며 사회 질서를 무너뜨릴 이 폭로가 받아들여지기를 원하는 그런 이인가? 그는 가면 없는 사람이 아니고, 대조적으로, 뒤집어 쓴 가면에 의해서만 정체성을 얻는 사람이다. 그는 곧 그의 가면이다. 그의 가면 아래에 "평범한 사람"은 없다. 이것이 조커가 배경과 다른 명확한 동기를 결여하고 있는 이유이다. 그는 제 상처에 대해 서로 다른 사람들에게 서로 다른 이야기를 들려주고, 그가 그를 있도록 만든 깊은 트라우마 따위를 가져야 한다는 망상에 조소를 던진다. 이는 <조커>가 그의 사회심리학적인 종류의 기원을 제공하고 그가 현재의 조커가 되도록 정신적 외상을 입힌 사건을 의도적으로 묘사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는 얘기다.*[6] 말인즉, 조커는 병리학적 상황의 결과이나, 이 상황은 오직 조커가 이미 이 세상에 있을 때에만 소급하여 이 캐릭터의 고유한 설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한니발 렉터에 관한 초기 소설 중 하나를 읽고 한니발 렉터의 괴물성이 (초기의) 불행한 상황의 결과라는 주장은 개소리 취급을 받는다. "그에게 무슨 일이 벌어진 게 아니다. 그는 그냥 저질렀을 뿐이다."

*[6] Before seeing the movie and knowing just critical reactions to it, I thought it provides the social genesis of the figure of Joker; now, after seeing it, I must admit, in the spirit of Communist self-criticism, that I was wrong: the passage from passive victimhood to a new form of subjectivity is the pivotal moment of the film.

*[6]그저 비평적 반응만 읽고 영화를 보기 전에 나는 이 영화가 조커에 대한 기원을 설명하는 영화일 거라 생각했다. 이제 영화를 봤으니, 나는 공산주의자 식으로 자아비판을 하겠씨요- 내가 틀렸음을 인정합네다. 수동적인 피해자성으로부터 새로운 형태의 주관성으로 나아가는 통로가 이 영화의 중점적 순간이다.



However, one can (and should) read Joker also in the opposite sense and claim that the act that constitutes the main figure as “Joker” is an autonomous act by means of which he surpasses the objective circumstances of his situation. He identifies with his fate, but this identification is a free act: in it, he posits himself as a unique figure of subjectivity…*[7] We can locate this reversal at a precise moment in the film when the hero says: “You know what really makes me laugh? I used to think that my life was a tragedy. But now I realize, it’s a fucking comedy.” Because of this act, Joker may not be moral, but he definitely is ethical. One should take note of the exact moment when Arthur says this: while, standing by the side of his mother’s bed, he takes her pillow and uses it to smother her to death. Who, then, is his mother? Here is how Arthur describes her presence: “She always tells me to smile and put on a happy face. She says I was put here to spread joy and laughter.” Is this not maternal superego at its purest? No wonder she calls him Happy, not Arthur. He gets rid of his mother’s hold (by killing her) through fully identifying with her command to laugh.

하지만 누군가는 (당연하게) <조커>를 이 반대 방향에서 읽고 조커의 캐릭터를 형성하는 주된 행동이 그냥 그가 처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행한 자율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7] 그는 그의 운명으로 정체성을 얻지만 이 과정은 자유로운 행동에서 비롯된다. 일련의 과정에서 그의 고유한 주관을 통해 정체성을 못박는다. 우리는 영화에서 반전이 이루어지는 결정적 순간을 찾을 수 있다. 영웅은 이렇게 말한다. "나를 진짜 웃게 만드는 게 뭔줄 알아? 나는 내 인생이 비극이라고 생각했었지. 하지만 이제 깨달았어, 내 인생은 좆같은 코미디였다는 걸." 또 우리는 아서가 제 어미를 베개로 눌러죽이면서 하는 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아, 그 사람이 엄마가 맞긴 했나? 아서는 그녀의 존재를 이렇게 설명한다. "그녀는 언제나 내게 행복한 표정을 짓고, 웃으라고 말했어. 내가 세상에 기쁨과 웃음을 전하기 위해 태어났다고 말야." 이것이 순수한 모성적 초자아가 아니겠는가? 그녀가 아들을 아서가 아니라 "해피"라고 부른 건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는 웃으라는 그녀의 말에 완전히 동일시함으로써 어머니의 품을 없애버리게 되었다.

*[7] Clowncels are also not just determined by their circumstances: even more than incels in general, they enact a symbolic gesture of turning their suffering into a form of enjoyment – they obviously enjoy their predicament, parading it proudly, and are therefore responsible for it, not just victims of unfortunate circumstances.

*[7]광대충들 또한 그들이 처한 상황만으로 단순하게 규정되지 않는다. 통상적인 인셀들 이상으로 그들은 그들이 처한 고통을 유희의 형태로 바꾸는, 그러한 상징적 행위로 인해 규정된다. 그들은 명백하게 그들이 처한 곤경을 즐기며, 이를 자랑스럽게 드러내고, 따라서 그들은 그저 운나쁜 상황의 희생자만은 아니게 되고, 그들 스스로가 상황에 책임을 가지게 된다.


Morality regulates how we relate to others with regard to our shared common Good, while ethics concerns our fidelity to the Cause which defines our desire, the fidelity which reaches beyond the pleasure-principle. Morality in its basic sense is not opposed to social customs; it is an affair of what in ancient Greece was called eumonia, the harmonious well-being of the community. One should recall how, at the beginning of Antigone, the chorus reacts to the news that someone (at this point we don’t yet know who) violated Creon’s prohibition and performed funeral rites on Polynices’ body. It is Antigone herself who is implicitly castigated as the “cityless outcast” engaged in excessive demonic acts that disturb the eumonia of the state, fully reasserted in the last lines of the play: “The most important part of happiness / is therefore wisdom — not to act impiously / towards the gods, for boasts of arrogant men / bring on great blows of punishment / so in old age men can discover wisdom.”

도덕성은 우리가 공공선이라고 여기는 것을 타인과 얼마나 공유하느냐에 따라 조절되는 반면, 윤리는 우리의 욕망을 정의하는 대의에 대한, 쾌락 원리를 넘어서게 하는 충실성과 연관되어 있다. 기본적인 의미에서 도덕성은 사회관습에 반하지 않는 것이다. 이는 옛 그리스 인들이 eumonia라고 부르던, 공동체의 조화로운 행복 자체를 일컫는다. 한 가지 더, 안티고네 서사의 시발점에 누군가 크레온의 금지령을 어기고 폴리네이케스의 제례를 치루어주었을 때, 코러스가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 살펴보자. 연극의 마지막 라인에서 온전히 재조명되는 공동체의 조화로운 질서를 무너뜨리는 악마적인 행위와 관여하여 알게 모르게 책망받는 "추방자"는 안티고네 그 자신이다. "행복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 신께 불경한 짓을 하지 않는 지혜라, 오만한 이들은 이를 자랑스러워하니 / 신벌의 무서움을 불러오게 되리 / 늙은이만이 지혜를 알 수 있을 뿐이다."



From the standpoint of eumonia, Antigone is definitely demonic/uncanny. Her defying act expresses a stance of de-measured excessive insistence which disturbs the “beautiful order” of the city; her unconditional ethics violates the harmony of the polis and is as such “beyond human boundary.” The irony is that, while Antigone presents herself as the guardian of the immemorial laws sustaining human order, she acts as a freakish and ruthless abomination. There definitely is something cold and monstrous about her, as is rendered by the contrast between her and her warmly-human sister Ismene. And it is in this same sense that Joker is ethical but not moral.

공동체(eumonia)의 입장에서 안티고네는 명백히 악마적이고 불쾌한 사람이다. 그녀의 반항적인 행동은 도시의 "아름다운 질서"를 방해하는 관측키 어려운 과한 고집의 표현에 지나지 않는다. 그녀의 자기멋대로의 윤리는 도시의 조화를 저촉하며 "인륜 너머"에 있는 것이다. 아이러니컬한 건 안티고네가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게끔 하는 고대 법률의 수호자로 존재하면서 행동하기는 제멋대로에 경우없는 혐오스러운 존재처럼 행동했다는 점이다. 사람냄새 나는 여동생 이스메인과 비교해봤을 때 알 수 있듯 그녀는 확실히 냉혈하고 비인간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조커가 도덕적이지 않지만 윤리적인 것과 같은 맥락으로 읽을 수 있다.



One should also take note of Arthur’s family name, Fleck, which in German means stain/spot. Arthur is a disharmonious stain on the social edifice, something with no proper place in it. Yet, what makes him a stain is not just his miserable marginal existence but primarily a feature of his subjectivity, his propensity to compulsive and uncontrollable outbursts of laughter. The status of this laughter is paradoxical: it is quite literally ex-timate (to use Lacan’s neologism), intimate and external. Arthur insists that it forms the very core of his subjectivity: “Remember you used to tell me that my laugh was a condition, that there was something wrong with me? It isn’t. That’s the real me.” But, precisely as such, it is external to him, to his personality, experienced by him as an autonomized partial object that he cannot control and that he ends up fully identifying with – a clear case of what Lacan called “identification with a symptom” (or, rather, “sinthome”: not a bearer of meaning, of a coded message from the unconscious, but a cypher of enjoyment, the elementary formula of subject’s enjoyment). The paradox here is that, in the standard Oedipal scenario, it is the Name-of-the-Father which enables an individual to escape the clutches of maternal desire; with Joker, paternal function is nowhere to be seen, so that the subject can outdo the mother only by over-identifying with her superego command.

또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점은 아서의 성인 플렉이다. 이는 독일어로 얼룩,점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아서는 사회라는 체계에서 조화될 수 없는 얼룩이다. 그에게 걸맞는 자리는 어디에도 없다. 그러나 그를 이런 얼룩으로 만드는 건 그저 그의 존재가 불우한 탓에 그치는 게 아니라, 조절할 수 없고 강박적으로 자주 터져나오는 웃음에 있다. 이 웃음의 상태는 역설적이다. 그것은 말 그대로 외부적이고 친밀하다. 아서는 이것이 그의 내면의 중요한 코어를 차지한다고 주장한다. "엄마가 나한테 내 웃음이 병이라고 했던 거 기억해? 나에게 문제가 있어서 그런 거라고 했지? 아니야. 이게 있는 그대로의 나야"*(엄마를 죽이기 직전의 대사) 하지만 웃음은 그의 인격에 있어 외부적인 것이며 그가 통제할 수 없는 독립된 일부로 완전히 정체화된, 라캉 식으로 "증상과의 동일시" 현상의 한 사례로서 겪게 되는 것이다. (혹은 "sinthome"* : 무의식의 암호화된 메시지의 전달자를 뜻하는 게 아니라, 대상의 쾌락에 대한 기초적인 식으로서 쾌락의 기호를 뜻하는 sinthome일 것이다.) 이 지점에서 역설이 생겨난다. 아주 표준적인 오이디푸스 이야기에서 아버지-의-이름(Name-of-the-Father*)은 객체가 어머니의 욕망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해 준다. 조커의 경우, 아버지의 기능을 하는 요소를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주체는 어머니의 초자아가 내리는 명령을 넘어서 자기 주체화를 할 때에만 어머니를 벗어날 수 있을 뿐이다.

*sintome 증상을 뜻하는 라캉 고유의 표현
*name-of-the-father 정신세계의 구축은 어머니를 통해 이루어진다.(일차적 동일화) 아버지를 이상화하고 동일시하기 시작하면서 나르시즘에서 벗어날 수 있다. (상상계 → 상징계)


The film provides not only the socio-psychological genesis of Joker, it also implies a condemnation of the society in which a protest can only assume the form of a new tribe led by Joker. There is a subjective act in Joker’s move, but no new political subjectivity arises through it: at the film’s end, we get Joker as a new tribal leader, but with no political program, just an explosion of negativity. In his conversation with Murray, Arthur insists twice that his act is not political. Referring to his clown makeup, Murray asks him: “What’s with the face? I mean, are you part of the protest?” Arthur’s reply: “No, I don’t believe any of that. I don’t believe in anything. I just thought it’d be good for my act.” And, again, later: “I’m not political. I’m just trying to make people laugh.”

영화는 조커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기원을 제공하는 것뿐 아니라 시위가 조커가 이끄는 새로운 부족의 형태로 가게 되는 사회에 대한 비난 또한 시사하고 있다. 조커가 제 주관대로 한 행동이 있으나, 이것이 새로운 정치적 바람을 불러오지는 못한다. 영화의 끝에 가서 우리는 새로운 흐름의 지도자가 된 조커를 보게 되지만, 거기에 새로운 정치적 시도는 없다. 그저 악이 터졌을 뿐. 머레이와의 대화에서 아서는 정치적인 뜻이 없었다고 두 번이나 이야기한다. 그의 분장을 지적하며 머레이는 묻는다. "그 얼굴은 뭐요? 당신도 그들과 한패요?" 아서가 답하기를 "아뇨, 전 그 무엇도 믿지 않아요, 아무것도요. 그냥 내가 하려고 하는 일에 맞겠다 싶어서 한 거지." 그리고 이어서 말하기를 "난 정치적인 사람이 아니에요. 그냥 사람들을 웃게 하려고 애쓸 뿐이죠."



In New York Times A.O Scott misses the point, therefore, when he dismisses Joker as “a story about nothing”: “The look and the sound /…/ connote gravity and depth, but the movie is weightless and shallow.” There effectively is no “gravity and depth” in Joker’s final stance. His revolt is “weightless and shallow,” and that’s the utterly desperate point of the film. There is no militant Left in the film’s universe; it’s just a flat world of globalized violence and corruption. Charity events are depicted as what they are: if a mother Theresa figure were to be there, she would have for sure participated in the charity event organized by Wayne, a humanitarian amusement of the privileged rich. However, it’s difficult to imagine a stupider critique of Joker than the reproach that it doesn’t portray a positive alternative to the Joker revolt. Just imagine a film shot along these lines: an edifying story about how the poor, unemployed, with no healthcare coverage, the victims of street gangs and police brutality, etc., organize non-violent protests and strikes to mobilize public opinion. That would be a new non-racial version of Martin Luther King… and an extremely boring film, lacking the crazy excesses of Joker which make the film so attractive for viewers.

뉴욕 타임즈의 A.O Scott은 조커를 "아무것도 아닌 이야기":"모습과 음향/…/깊이와 무게감을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무게감 없고 얕다"라고 할 때 요점을 놓쳤다. 실상 조커의 마지막 지점에는 무게와 깊이가 없다. 그의 폭동은 "무게감 없고 얕다" 그리고 이것이 영화의 가장 절박한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전위적인 좌파는 이 영화가 그리는 세계관에 존재하지 않는다. 영화의 세계는 세계화된 폭력과 부패가 자리잡은 평범한 세계에 불과하다. 영화에 그려진 자선 행사 따위가 이를 잘 대변해준다. 만약 마더 테레사 같은 사람이 이 세계 속에 있다고 하면, 그녀는 당연히 웨인이 조직한 자선행사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웨인과 같은 자본가들의 자선 놀음에 말이다. 조커의 폭동에 긍정적 대안이 없다는 식의 접근처럼 멍청한 비평은 더 상상하기 어려울 것이다. 영화에 이런 장면들이 담겼으면 어땠을까? 가난뱅이, 실업자, 건보소외자, 경찰과 길거리잡배들의 폭력의 희생자들 등등을 교화하는 이야기라든가, 여론을 통해 비폭력 시위가 조직되는 장면 따위를. 아마 인종주의가 거세된 마틴 루터 킹 같은 것이었을 터이다. 엄청나게 지루한. 조커의 미친 행동이 없는 영화라, 퍽이나 재미있을 것이다.



Here we touch the crux of the matter: since it seems obvious to a Leftist that such non-violent protests and strikes are the only way to proceed, i.e., to exert an efficient pressure onto those in power, are we dealing with a simple gap between political logic and narrative efficiency (to put it bluntly, brutal outbursts like those of Joker are politically a deadlock but they make a story interesting). Or is there also an immanent political necessity in the self-destructive stance embodied by Joker? My hypothesis is that one has to go through the self-destructive zero-level for which Joker stands. Not actually, but one has to experience it as a threat, as a possibility. Only in this way can one break out of the coordinates of the existing system and envisage something really new. Joker’s stance is a blind alley, a total deadlock, superfluous and non-productive, but the paradox is that one has to go through it to perceive its superfluous character. There is no direct way from the existing misery to its constructive overcoming.

문제의 중점을 건드려 보자, 좌파들에게 비폭력 시위와 파업만이 유일하게 쓸 수 있는 방법으로 보이기 때문에, 인즉, 권력에 효율적인 압박을 가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보기 때문에 우리는 정치적 논리와 재미를 볼 수 있는 서사의 효율 간의 간극을 이야기하고 있는가? (단도직입적으로 말해, 조커 식의 무분별한 폭동은 정치적으로 교착 상태이겠으나 이야기는 더욱 흥미롭게 만들어 준다.) 혹은 조커가 상징하는 자기파괴적 태도에 내재된 정치적 필요가 있는가? 내가 생각하기에 한 가지 분명한 건 우리가 조커가 선 자기파괴적 영점을 뚫고 지나가야만 한다는 점이다. 실제로 겪지는 않더라도, 어떤 위협이나 가능성 정도로는 겪어볼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재의 시스템을 박차고 나갈 수 있고 새로운 무언가를 상상해볼 수 있다. 조커의 태도란 눈 먼 채 걷는 골목길이요, 완전한 교착상태요, 불필요하고 생산성 없으나 역설적으로 이 무가치한 캐릭터를 알기 위해서는 이를 거쳐 가야만 한다. 현실의 불행으로부터 벗어나는 건설적인 방향에 직도(直道)란 없다.



In his interpretation of the fall of East European Communism, Habermas proved to be the ultimate Left Fukuyamaist, silently accepting that the existing liberal-democratic order is the best possible, and that, while we should strive to make it more just, etc., we should not challenge its basic premises. This is why he welcomed precisely what many Leftists saw as the big deficiency of the anti-Communist protests in Eastern Europe: the fact that these protests were not motivated by any new visions of the post-Communist future. As he put it, Central and East European revolutions were just what he called “rectifying” or “catch-up” revolutions: their aim was to enable these societies to gain what Western Europeans already possessed, i.e., to rejoin the West’s European normality. However, although the Hong Kong protests may appear to fit this frame, the ongoing wave of protests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tends to question this very frame – and this is why figures like “jokers” accompany them. When a movement questions the fundamentals of the existing order, its basic normative foundations, it is almost impossible to get just peaceful protests without violent excesses.

동유럽 공산주의의 몰락에 대한 해설에서 하버마스는 궁극적으로 좌파 후쿠야마주의자임을 드러냈고, 현존하는 자유-민주주의 질서가 가장 나은 길임을 조용히 받아들였으며, 우리가 이 질서를 보다 공정하게 만들기 위해 분투해야 하며 이 기본적 전제에 도전해서는 안 된다고 못 박았다. 이것이 많은 좌파들이 동유럽 반공주의 시위를 결함으로 본 것을 그가 환영한 이유이다. 사실 이 시위들이 포스트-공산주의의 미래에 대한 비전에 동기를 얻은 것도 아니었으니 말이다. 그의 말마따나 중부와 동부 유럽에서의 혁명이란 것들은 대개 "따라잡기"나 "정상화" 식의 혁명이었다. 이들의 목표는 서구 유럽인들이 이미 쥐고 있던 것들을 가지자는 데 있었다. 즉, 그들은 서유럽이라는 정상성의 범주에 다시 들어가기를 원한 것이다. 그러나, 홍콩 시위가 이 같은 틀에 꼭 들어맞을지 모르나, 현재 세계 각지에서 벌어지는 시위는 이 같은 틀에 의문을 제기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기에 조커와 같은 인물이 이들과 함께해야 한다. 어떤 흐름이 현존하는 질서의 규범적인 토대가 되는 근간에 의문을 던질 때, 폭력 없이 평화시위만으로 목표를 이루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And, to conclude with a reference to the film, the elegance of Joker resides in how the crucial move from a self-destructive drive to a “new desire” (Moore) for an emancipatory political project is absent from the film’s storyline: we, the spectators, are asked to fill in this absence.

맺음말을 내자면, <조커>의 고아함은 자기파괴적 추동에서 영화에는 부재한 해방적인 정치적 기획으로서의 새로운 욕망으로 넘어가는 중대한 움직임이 어떻게 전개되는가에 달려 있다.
이 빈 부분은 우리, 관중들이 채워야 한다.


P.S. Fragments of this text are already circulating on the web. I am grateful to LARB’s “The Philosophical Salon” for its readiness to publish the integral version which dispels many confusions that the fragments which circulate gave rise to.

이 찌끄래기가 웹에 좀 돌아다니고 있으니 나중에 모아서 출판을 해보련다.



펌 https://blog.naver.com/guicyana/221772605836

  • tory_1 2020.02.21 21:51
    번역한 사람도 대단하다...
  • tory_2 2020.02.21 21:52
    좋은 글 고마워!!! 내 의견이랑 정확히 똑같아서 놀랐다;;
  • tory_2 2020.02.21 21:52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0/02/21 21:53:16)
  • tory_3 2020.02.21 21:53

    감독이 만약 이거 읽어 본다면 어ㅓㅓ..어..?? 오오..! 했을듯 


    박사급 철학자들이 이런건 잘하더라. 연구하면서 문장 하나로도 온갖 의미들을 만들어내는 직업이라 그런가


    꿈보다 해몽에 통달한 직업이랄까.

  • tory_6 2020.02.21 21:57
    아 개공감ㅋㅋ 감독도 생각못한 의미일듯
  • tory_4 2020.02.21 21:54

    와우 뭐냐.....

  • tory_5 2020.02.21 21:55

    잘 읽었어! 동의하게 되는 지점도 많고 생각의 흐름이 시원시원하네. "실상 조커의 마지막 지점에는 무게와 깊이가 없다. 그의 폭동은 "무게감 없고 얕다" 그리고 이것이 영화의 가장 절박한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 이 부분 좋다. 난 조커가 억지로 의미두지 않고 미화하지 않는 게 좋았거든.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인공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애정을 받게 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의하지 않고 거리두게 되는 시청자로 한 번은 만족스럽게 본 영화였어. 

  • tory_7 2020.02.21 22:08

    지젝 성님을 여기서 보네..햐..잘읽을게~_~

  • tory_8 2020.02.21 22:19

    와 정말 잘읽음 고마워

  • tory_9 2020.02.21 22:24
    지젝 진짜 어마어마하게 돌려까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W 2020.02.21 22:35
    까는 걸로 읽히다니 토리 문해력에 문제 있어 보인다..
  • tory_12 2020.02.21 22:37
    @W 나도 돌려 까는 걸로 읽혔는데??? 문해력???
  • tory_9 2020.02.22 07:55
    @W ??원글냔아 두번째편에서부터 막문단까지 지젝이 조커 존나 패고있는디...?
  • tory_9 2020.02.22 07:58
    @W But does it really work like that? 이문단부터 막문단까지 이악물고 존나 패고있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너 1 편만 보고 퍼왔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W 2020.02.22 09:53
    @9 내가 선생도 아니고 어디서부터 어떻게 이해시켜야 할 지 모르겠다. 찬찬히 다시 읽어봐도 그렇게 읽힌다면 너 톨 맘대로 생각해.
  • tory_9 2020.02.22 09:56
    @W 나도 의견 개진인데 뜬금없이 문해력 눈운에 선생이니 개소리하는거보고 흑흑 ㅠㅠ 원글냔아 너무 부들대지마 조커충같자나 ㅠㅠㅠㅠ
  • tory_9 2020.02.22 10:07
    @W 그리고 기본적으로 지젝은 조커를 옹호하는게 아니라 조커에 이입하는 애들의 정치적 성향과 조커가 나온 배경을 존나 패고있음 ㅠㅠㅠ 요걸 조커를 잘만든 영화라고 칭찬하는 것처럼 보였다고 생각하고 번역도 그따위로 해온거면 ㅠㅠㅠ 원글냔 어뜨카지 너...?
  • W 2020.02.22 10:11
    @9 지젝은 미국의 현상황을 비판하고 있는 거지 조커를 까고 있는 게 아냐. 너톨이 조커를 싫어해서 믿고 싶은대로 믿는건지 진정 문해력이 떨어지는 건지 모르겠는데 피곤하니까 그만하고 여기서 냔냔거리지 마.
  • tory_10 2020.02.21 22:30

    지젝 교수 영화 리뷰도 하는구나...

  • tory_3 2020.02.21 22:33

    지젝 영화 리뷰 전문가야 예전부터 해왔음 리뷰 쪽으로도 좀 유명함

  • tory_13 2020.02.22 15:58
    워후 넘 길어서 일단 댓글달고 나중에 정독할게!
  • tory_14 2020.02.22 17:18
    지젝은 영원한 급진 좌파라는 걸 다시금 확인해주는 글. 현재 진보 정치의 주류인 liberal 들, 즉 민주당식 PC 정치로는 자본주의의 근본적인 모순을 해결할 수 없다는 걸 강조하고 있네. 조커의 강점은 폭력성이고 이런 폭력성이 현재는 반동보수들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조커 찬양하는 남성인권운동가들이나 incel 들ㅋㅋㅋㅋ) 에 의해 잘못 해석되고 있다는 걸 말하는 글이네. 지젝은 꾸준히 일관되서 좋다. 물론 그가 말하는 폭력을 동반한 좌파 혁명이 실제로 일어날 지는 잘 모르겠지만.....
  • tory_15 2020.02.22 23:52
    나도 리버럴들 까는 걸로 읽었는데 반응 갈리는 거 신기...
  • tory_16 2022.10.13 21:40

    스크랩할게 고마워

  • tory_17 2023.01.18 21:10

  • tory_18 2023.07.01 17:44
    스크랮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전체 【영화이벤트】 <링> 나카다 히데오 감독 작품 🎬 <금지된 장난> 구마 시사회 19 2024.05.21 3524
전체 【영화이벤트】 여성 공감 시사회 🎬 <다섯 번째 방> 시사회 9 2024.05.21 2834
전체 【영화이벤트】 이주승 X 구성환 찐친의 카자흐스탄 힐링 여행기! 🎬 <다우렌의 결혼> 무대인사 시사회 46 2024.05.17 6649
전체 디미토리 전체 이용규칙 2021.04.26 578947
공지 [왕실 관련 게시물 작성 시 안내사항] 2022.09.15 32065
공지 헐리우드 게시판 이용규칙 (230529 Update) 2022.04.24 44012
공지 🚨 해외연예인 대상 인신공격성 악플 규제 안내 2021.04.23 53197
모든 공지 확인하기()
2626 사진 여자 금수저모델 중 진짜 너무하다 싶은 애 1위.jpg 76 2020.02.25 5387
2625 잡담 김혜리기자가 묘사한 주드로 또 들어줘야 함 ㅋㅋㅋ + 킬리언 머피 24 2020.02.25 2919
2624 사진 신이 이게 너의 취향이더냐하고 만든듯한 얼굴들(스압주의) 11 2020.02.24 2173
2623 잡담 비버 주춤하니 엄청 조리돌림 당하네 꼴좋음 30 2020.02.24 2263
2622 사진 릴리 16 2020.02.24 1999
2621 사진 브래드 피트 20대.gif (눈 앞에 프랑스가 다가올 수 있음 주의) 59 2020.02.24 3488
2620 사진 보기 좋았던 보디가드 & 베이비시터랑 놀던 노스 웨스트.jpg 21 2020.02.23 2256
2619 잡담 리한나가 자선가로써 업적 인정받는 이유 22 2020.02.23 1774
2618 사진 (초스압) 비토리아 세레티, 샤넬 vs 돌체앤가바나 28 2020.02.23 2059
2617 사진 명화같았던 줄리안 무어 불가리 광고(약후방) 16 2020.02.23 1894
2616 잡담 무섭지만 묘하게 멋있는 마이클 섀넌 (데이터주의) 18 2020.02.23 1907
2615 사진 마고 로비와 남편 톰 애커리 사진 모음 46 2020.02.22 18537
2614 정보 워싱턴포스트"트럼프의 기생충 비난은 유감스러운 일"(번역) 6 2020.02.22 995
2613 잡담 1917이 기술에만 치중해서 주제의식 안느껴지고 117 2020.02.22 1954
2612 사진 왕이 왕실 폐지론자 아닐까 싶고 폐위되고 싶어 환장한거 아닌가 싶은 국왕 23 2020.02.22 3315
2611 사진 브래드 피트의 단짠단짠 바지핏 57 2020.02.22 2948
2610 정보 BTS 새 앨범 ‘7’ 메타크리틱 스코어 85 2020.02.22 2309
2609 잡담 기생충 비난한 트럼프 저격한 베트 미들러 24 2020.02.22 2468
2608 정보 "'오스카 캠페인' 비용 100억?"…'기생충' 곽신애 대표의 반문 23 2020.02.21 1093
» 잡담 철학자 슬라보예 지젝의 조커 리뷰 26 2020.02.21 1490
목록  BEST 인기글
Board Pagination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208
/ 208

Copyright ⓒ 2017 - dmito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