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기

안녕 톨들!


최근에 딤톨에서 이런저런 정보를 얻어가면서, 나는 무슨 정보를 주면 좋을까 생각하다가, 컴퓨터 부품을 어떻게 조합하는 것이 좋고, 어떤 부품이 지금시점에서 가성비가 어떤지 내맘대로 정리를 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 어쩌면 틀린 부분도, 개인의 주관적인 부분도 있을텐데, 그런 부분은 다른 토리들이 댓글로 보충해주면 좋을 것 같아.


그냥 쉽게 리스트에서 부품이름만 가져가도 되고, 굳이 덧붙인 판단근거까지 읽어도 좋아. 어느 부분까지 읽더라도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적었어. 다들 알음알음 검색으로 배웠던 내용일 것이고, 예전에도 이런 글이 아마 있었을수도 있지만, 최신정보로 업데이트한다는 느낌으로 적어볼게. 본체만 맞추는것 기준으로!



무엇 중에서 골라야 할까?


대기업/중소기업 PC나, 용산 업체들의 조립형 완제품 등의 완제품PC가 아닌, 말 그대로 스스로 부품을 선택한 조립PC를 사려고 하면 대체 무슨 부품을, 어떻게 골라야 하는지 막막할 거야. 일단 아래에 가성비 등을 고려해 괜찮은 제품들을 먼저 나열해 두고, 설명이 필요한 부분은 그 다음에 하나하나 써볼게. 굳이 설명이 필요없다면 그냥 이 리스트만 참고해도 좋을거야.



1. CPU

    1) 게임용/작업용 : INTEL 9400F 9700K/KF 9900K/KF, AMD 3500X 3600 3600X 3700X

    3) 무거운 작업 or 게임+방송+작업 혼합 등등 고사양 필요시 : AMD 3900X 3950X

    4) 완전 가성비 : AMD 2200G

2. RAM : 굉장히 가벼운 작업(8GB) <---------- (16GB 32GB) ----------> 굉장히 무거운 작업(64GB)

3. 메인보드 / 추천 CPU 조합

    1) INTEL 전용

        - 보급형(H310) : 웬만하면 비추천 / 9400F

        - 중급형(B365 H370) : 9~10만원 이상 추천 / 9400F 9700K/KF*
            * K모델 오버클럭은 Z390에서만 가능! 자세한건 하단 설명 참조하길 바라. 중급형 중 10만원 중반 모델 혹은 아예 Z390이 좋을 듯

        - 고급형(Z390) : 일반적으로는 20만원대 초반으로 추천 / 9700K/KF 9900K/KF

    2) AMD 전용

        - 보급형(A320) : ASUS EX A320M-GAMING / 2200G 3500 3500X

        - 중급형(B450) : 10만원 이상 추천 / 3500 3500X 3600 3600X 3700X*

            * 예산이 있다면, 8코어 모델은 10만원대 중반 모델 혹은 고급형이 좋을 듯

        - 고급형(X470 X570) : 둘중에는 가능하다면 X470을 사는게 나을듯, 일반적으로는 20만원대 초반으로 추천 / 3700X 3900X 3950X

4. 게임용 그래픽카드

    - X : 내장그래픽 사용(AMD 2200G)

    - 17만 : AMD RX 570

    - 21만 : NVIDIA GTX 1650 SUPER

    - 28만 : NVIDIA GTX 1660 SUPER

    - 39만 : NVIDIA RTX 2060

    - 48만 : NVIDIA RTX 2060 SUPER (~50만원대로 구매할 경우는 2060S, 50만원대~인 경우는 2070 노멀버전 구매)

    - 62만 : NVIDIA RTX 2070 SUPER

    - 90만 : NVIDIA RTX 2080 SUPER

    - 160만 : NVIDIA RTX 2080 Ti

5. SSD

    1) 256GB

        - 2.5" (SATA) : ADATA SU750 256GB / 4~5만

        - M.2 (NVMe) : Transcend MTE220S 256GB / 7~8만

    2) 512GB

        - 2.5" (SATA) : Transcend SSD230S 512GB / 7~8만

        - M.2 (NVMe) : Transcend MTE220S 512GB / 11~12만

    3) 1TB

        - 2.5" (SATA) : Transcend SSD230S 1TB / 15만

        - M.2 (NVMe) : Transcend MTE220S 1TB / 19~20만

6. (선택) HDD : 2TB~10TB

7. 케이스

8. 파워 (대략, 100W당 만원 내외)

9. CPU 쿨러

    - 기본쿨러 사용해도 됨 : INTEL 9400F*, AMD 2200G 3500 3500X 3600 3600X 3700X
        * 9400F는 그래도 예산이 허락하면 2~3만원이라도 따로 쿨러 구매하는게 좋음

    - 여유가 있으면 구매 (2~4만원대) : INTEL 9400F 9700K/KF*, AMD 3600 3600X 3700X / INTEL은 1151v2, AMD는 AM4 소켓 지원여부를 확인해야 해.
        * 9700K/KF모델은 기본쿨러가 없어. 필수로 구매해야돼!

    - 기본쿨러 미포함, 필수 구매 (5~6만원대 이상) : INTEL 9700K/KF 9900K/KF, AMD 3900X* 3950X / 역시 소켓 지원여부 확인 필수
        * 3900X는 기본쿨러가 있지만, 고성능 쿨러가 없으면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는게 좋아.



왜 저렇게 고른거지, 어떻게 고른거야?


0. 조건을 확실히 하자

 - 사용할 용도가 어떻게 될까? 게임, 작업, 사무?

 - 그리고 그 비율은 어느정도 될까?

 - 최대예산과 희망예산은 어느정도?

이 정도만 생각하면 부품 고르기는 쉬워. 아래 적어둔 설명에는 어려운 이야기도 있고, 쉬운 이야기도 있는데, 너무 어려운 기술적인 이야기를 써두었다면 그냥 넘겨가면서 읽어도 무방해.


1-1. CPU

- 우선 저가형 가성비 사무용PC 내지는 캐주얼 게이밍(저사양 게임) PC를 생각하고 있다면, "완전 가성비"로 적어둔 AMD 2200G를 고르는 것이 좋아. AMD 2200G는 GPU가 내장되어 있어서 그래픽카드를 추가 장착하지 않아도 잘 작동해. 대안으로 AMD 2400G 3200G 3400G가 있는데, 얘네들은 지금 시점의 가성비가 애매한 편이라 위 리스트에는 적지 않았어.

- (1) 순수 게임용에 가깝고 (2) Full HD 환경 (3) 고주사율 모니터를 사용하고 (4) 5~10프레임 차이도 놓칠 수 없는 경우는, 무조건 INTEL 9700K/KF 9900K/KF를 선택해야 해.

- 게임이나 작업 용도 등이 결합된 경우 일반적으로는 AMD CPU중에서 고르거나, INTEL 9700K/KF를 고려할 수 있어.

- 가성비 게임용 CPU는 INTEL 9400F나 AMD 3500 3500X 3600 정도가 꼽히는 편이야.

- 인텔의 K모델과 KF, F 등 모델 구분법은 F모델은 내장그래픽이 없는 모델, K는 오버클럭 가능 모델이라는 뜻이야. KF는 둘다 해당되는 경우. 9700이나 9900의 경우 K모델보다 KF모델이 저렴할 수 있으니, 게임+방송 동시송출용(내장그래픽으로 Quicksync 가속 사용)이 아닌 경우 KF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가격적으로 유리할 거야.

- 아래 메인보드쪽에서도 설명하겠지만 INTEL의 K모델은 Z390 칩셋 메인보드에서만 오버클럭이 가능하니 주의해!


1-2. CPU 쿨러

- 유의할 점은, INTEL의 K모델 즉 9700K/KF 9900K/KF를 구매하는 경우 기본쿨러가 제공되지 않아서 CPU쿨러를 따로 구매해줘야 한다는 점이야. 한 5~6만원대 이상의 공랭 CPU 쿨러를 장착하는 것을 추천해.

- 사실 나는 9400F의 경우도 기본쿨러가 영 부실해서 한 2~4만원 정도로 따로 사는걸 추천하는 편이야. 근데 그렇게 되면 가성비가 조금 애매해지긴 하지만, 꽤 조용해지거든.

- AMD의 경우에도 여유가 된다면 3700X은 3~4만원대 이상, 3900X 이상은 거의 필수적으로 6~7만원대 이상의 공랭 CPU 쿨러를 따로 구매하는 것이 좋아. 3950X는 아예 기본구성이 쿨러 미포함이고.

- 개인차가 있겠지만, AMD 3500 3500X 3600 3600X는 뭐 기본쿨러도 그냥 무난한것 같아서.. 개인의 선택인것 같아. 3~4만원대 이상의 쿨러를 구매하면 기본쿨러보다는 비교적 조용해지긴 할거야. 나는 소음에 크게 민감하지 않아서, 크다고 생각해본적이 별로 없어. 어쨌든 조금 민감하다 싶으면 사제쿨러를 사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거야.

- 나톨이 써본 CPU 쿨러회사는 Thermolab, 쿨러마스터, Scythe, 잘만, Deepcool, Cryorig 등등이 있어. 천천히 둘러보고 그래도 잘 모르겠으면 전자기기방에 물어봐가며 사도 좋을거야.


2. RAM

- 램의 경우 두 개를 끼우는 구성이 기본이고 필수야. 물론 무거운 작업이 필요해서 64GB 구성을 해야 하는 경우는 16GB 램을 4개 끼워야 하겠지만, 그 이하 구성에서는 4Gx2=8G, 8Gx2=16G, 16Gx2=32G로 구성하는 것이 상식이야. 생각보다 성능에 영향이 있으니 꼭 짝수로 하도록 주의해야 해.

- 오버클럭을 생각하는 경우에는 RAM 2개를 초과한 구성인 경우 오버클럭이 더 깐깐하게(낮게) 들어가므로 주의.

- 요즘은 램이 굉장히 저렴하고, 많으면 많을수록 좋은 부품이다보니 웬만하면 16GB 이상의 구성을 추천해. 하지만 완전히 가벼운 사무용인 경우는 8GB 구성만 해도 괜찮기는 해.

- 램을 고르다보면 보이는 PC4-19200, PC4-21300 등등 PC4- 뒤에 붙어있는 숫자는 램의 작동 속도야. 19200과 21300은 후자가 속도가 더 빠른데 둘이 가격차이가 없으므로, 무조건 21300으로 고르는 것이 이득이야. 이것보다 높은 숫자를 가진 모델들은 튜닝램으로, 가성비가 떨어지는 경우가 대다수라 그냥 기본모델을 추천할게.

- RAM 제조사가 꽤나 많은데, 그중 삼성전자 것이 제일 잘 팔려. 이게 원래 해외에서는 안 팔리는데 한국에서만 판다고 하더라고. 하여튼 삼성것을 보통 고르는데, ESSENCORE/GeIL 메모리가 더욱 저렴한 경우가 있어서 나톨은 이걸 사기도 해. 개인적으로 램은 CPU 다음으로 고장이 거의 없는 부품이기도 하고 해서 저렴하게 아무거나 사도 무난하다고 생각해.


3. M/B

- 견적 게시물을 보다보면 제일 안타까운 것이, 무조건 저렴한 메인보드를 고르는 경우가 많았어. 그런데 PC의 내구성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부품 두개를 꼽자면 메인보드와 파워라고 할 수 있거든. 메인보드를 무조건 최저가로 고르면 후회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

- 내구성을 볼때 고려할 것은 전원부는 충분한가, 그리고 전원부에 방열판이 조금이라도 있는가 두개 정도를 우선 보게 되는 듯 해.

- "전원부가 충분한가"의 의미는, CPU는 그 성능에 따라 소비하는 전력량이 다른데, 메인보드에는 CPU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전원부)가 다수 존재하게 돼. 일반적으로는 가격에 따라서 가격이 저렴할수록 부실하고, 비쌀수록 튼튼하게 구성되어 있어.

- "전원부에 방열판이 조금이라도 있는가"의 의미는, 메인보드의 전원부가 CPU에 전력을 공급할 때에는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긴 시간동안 높은 수준으로 CPU 작업을 하게 되면 당연히 전원부에 열이 많이 쌓이게 될거야. 그렇다면 이를 조금이나마 효과적으로 식혀 줄 장치가 있어야 하는데, 그게 바로 전원부 방열판이야.

- 위에 리스트에 적어둔 가격대가, 전원부 구성이 기본은 하고, 방열판도 있는 정도의 가격대를 적어놓았으니 참고하길 바라. (비싸면 내구성이 좋다고 해서 너무 비싼걸 사봤자 가성비 측면에서는 돈낭비가 될 수 있으니 주의. 왜냐면, 그래픽카드처럼 브랜드가치+감성적인 디자인으로 가격을 올려놓은 경우가 많기 때문!)

- INTEL CPU를 골랐으면 인텔용 메인보드를 고르고, AMD CPU를 골랐으면 AMD 메인보드를 고르면 돼.

- 위에도 설명했지만, 고성능 CPU는 전력소모가 많기 때문에, 어느정도 CPU와 메인보드는 급을 맞춰주어야 CPU가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 예를 들어 AMD 3950X를 A320 메인보드에 사용하게 되면 내구성도 저하될뿐더러 성능도 굉장히 낮아지게 되겠지. 위 리스트에는 내가 추천하는 메인보드+CPU 조합을 같이 써두었으니 참고하길 바라.

- 메인보드의 제조사를 볼때 나톨은 보통 GIGABYTE, MSI는 피하는 편인데, 제품 자체는 좋더라도 한국 A/S가 너무 헬이라서 그러는 편이야. 그리고 ECS, Colorful 등은 저가형 이미지가 강해서 잘 사지 않고, 그래서 거의 ASUS, ASRock(에즈윈 유통) 중에서 구매하는 것 같아.

- 추가적으로 설명하자면, INTEL 9700K/KF 9900K/KF를 오버클럭하거나 RAM이 고클럭 램(튜닝램)이거나 오버클럭을 생각하는 경우는 무조건 Z390 칩셋을 사용한 메인보드를 사야 해. INTEL이 하위칩셋에서는 하지 못하도록 막아놓았거든.

- B365와 H370의 차이는 일부 확장성(USB 3.1)에 차이가 있고, 둘중에서는 H370이 조금 더 좋은 칩셋이긴 한데, 거의 대동소이해.

- AMD의 경우는 INTEL과 달리 오버클럭 제한이 없어. 다만 고급형 중 X470과 X570의 차이를 설명하자면, X570의 경우는 칩셋쿨러가 거의 대부분 들어가 있어서 개인적으로는 싫어해. (소형팬이 먼지에 취약하기 때문.) X570만의 기능도 딱히 체감할만한 것은 없는걸로 알고 있어. 혹시나 PCIe 저장장치가 다수 있으면 X570이 좋긴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X470을 추천하는 편이야.

- 다만 A320과 B450 사이에는 위의 경우와 달리 기능상 차이가 조금 있는데, 2200G 3500 3500X까지는 가성비 측면에서 A320과 조합해도 괜찮을 것 같아. 성능차이도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알고있어. 다만 3600부터는 B450과 조합을 추천할게.

- 혹시 2200G를 사용할 예정이고, 구형모니터를 사용하는 톨이라면 모니터 입력부와 메인보드의 그래픽 출력부분 스펙을 비교 확인해보고, 잘 모르겠으면 전자기기방에 물어보고 구매해!


4. 그래픽카드

- 일반적인 사무용 PC나 캐주얼 게임용 PC는 AMD 2200G에 내장된 GPU로 충분할 거라고 생각해. 하지만 본격적인 게임/작업이 목적이라면 적당한 가격대의 그래픽카드를 맞춰주어야 해.

- 일반적인 가성비 게이밍으로는 AMD RX 570 4GB와 NVIDIA GTX 1650 SUPER를 추천할 수 있어. 둘다 각자의 가격대에 맞는 성능인 것 같아. 작업용으로 PC를 맞춘다면, 특별히 GPU가속이 필요한 작업이 아니라면 NVIDIA GTX 1650 SUPER를 추천할 만 해.

- GPU 가속이 필요한 작업용 그래픽카드로는, NVIDIA RTX 2060 SUPER, RTX 2070 SUPER 정도가 일반적으로는 추천할만 해. 특정 3D/2D 렌더링 작업이나 기계학습을 하는 분들은 아예 NVIDIA Quadro나 AMD Radeon Pro 라인업 같은 전문가용 그래픽카드를 사용하기도 하니, 그런 톨들은 잘 알아보고 결정하는 걸 추천해.

- NVIDIA RTX 2080 SUPER, RTX 2080 Ti는 가성비와는 거리가 먼 모델이야. 예산이 2~300 이상인 하이엔드 PC를 맞출 때 넣는 모델이지.

- AMD RX 570을 사용하면 Fluid Motion을 사용할 수 있는데, 동영상을 부드럽게 볼 수 있는 기능이야. 궁금한 톨들은 구글에 물어봐.

- AMD RX 5700과 RX 5700 XT는 가격 측면에서 각각 NVIDIA RTX 2060과 RTX 2060 SUPER에 대응되는 모델인데, 그것들보다 성능이 꽤 좋은 편이라 추천할만 해. 다만 아직까지도 드라이버 불안정을 겪고 있어서 목록에서는 제외했어. 참고로 나도 5700XT 사용중... ;; (가성비가 AMD가 꽤 좋아서 샀지만...)

- 일반적으로는 외장 그래픽카드를 고를 때에는 쿨러가 2개~3개 달린 모델을 사는 것이 좋아. 1팬 모델은 시끄러울 가능성이 높기 때문. 그리고 똑같은 모델 안에서 10만원 이상 가격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는데, 그건 브랜드 가치+고급형 모델의 감성적인? 쿨러 디자인+1~2% 정도의 성능차이 때문이야. 하지만 가성비 측면에서 보면 그냥 무조건 최저가순으로 나열해서 저가형을 사는 것이 좋지.

- 메인보드와 비슷하게, 철저히 나톨기준 구매를 피하는 제조사는 보통 MSI, GIGABYTE, GAINWARD등 특정업체에서 AS를 담당하는 제품들. 나머지는 경험상 그냥 고만고만한것 같아.

- 혹시 구형모니터를 사용하는 톨이라면 그래픽카드의 출력부분 스펙을 확인해보고, 잘 모르겠으면 전자기기방에 물어봐! HDMI와 DP로 연결하는 추세라서, 최신 그래픽카드에 DVI포트는 없을수도 있어.


5. SSD

- SSD는 2.5인치 SSD를 사용할 수도 있고, M.2슬롯에 끼우는 SSD를 사용할 수도 있어.

- 2.5인치 SSD는 SATA 규격으로 통신하고, M.2 NVMe SSD는 PCIe 규격으로 통신해. 후자가 속도가 더 빠르고, 대신 더 비싸. M.2 슬롯에 끼우는 SATA SSD도 있지만, 굳이 필요할까 싶어서 그냥 리스트에서는 뺐어.

- SSD를 고를 때, 각종 스펙들 사이에서 꼭 봐야 할 것은 캐싱기술 유무야. 어떤 사람들은 컨트롤러도 중요하다! 하겠지만, 기본적으로 최근에는 컨트롤러 차이가 그리 크지 않고, 캐싱기술 유무가 훨씬 차이가 커.

- 이게 무슨 말이냐면, 컨트롤러는 데이터를 쓰고 읽는 작업을 처리하는 녀석인데, 예전에는 이런 컨트롤러 칩 제조사 간의 기술력 차이가 좀 큰 편이었어. 하지만 요즘은 꽤 평준화되었다는 것이 내 생각이야.

- DRAM이나 SLC 캐싱은 무조건 있는 것이 좋아. 그 이유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 특히 DRAM 캐싱 여부에서 성능차이가 꽤 난다는 것만 알아두면 돼. 리스트에 적어둔 것들은 DRAM/SLC 캐싱이 있는 모델이야. 토리들이 모두 확인하고 구매하기가 쉽지 않을것 같아서, 일부러 세부모델명을 써놨어.

- 물론, 사람들이 선호하는 삼성 EVO 시리즈나 WD Black 시리즈 등의 고급형 라인업을 사도 되는데, 내 리스트는 철저히 기본기를 갖췄는지 여부와 가성비를 기준으로 고른 것이라서 적지 않았어. (쉽게 말해서, 용량과 성능에 비해 비싸다는 느낌이라서 안 썼어.)

- 위 리스트를 보면 알겠지만, 저용량 SSD는 상대적으로 가성비가 떨어지니, 여유가 있다면 높은 라인업을 추천할게. 요즘 SSD가 꽤나 저렴한 시기이기도 하니까.

- 가끔 보이는 "QLC" 제품은 피하도록 하자(보통은 TLC). 이 기술의 안정성이 아직 많은 사람들에 의해 검증이 되지 않아서 개인적으로 꺼려지는 편이야.


6. HDD

- 굳이 필요한가를 잘 생각해 봐. 굳이? 요즘 SSD도 저렴한데 굳이??

- 굳이 사야겠다면 1TB 모델은 가성비가 너무 좋지 않으니 차라리 1~2만원 더 주고 2TB로 넉넉히 넣어두는게 좋겠지.

- 12TB, 14TB 모델 역시 가성비가 별로야. 나머지 2TB~10TB 모델들은 가성비가 고만고만해.

- 예전에는 5400rpm, 7200rpm 같은 회전수를 따지기도 했는데(높은 회전수가 소음+전력소비+성능이 높음), 아니면 플래터 갯수나, 버퍼 크기 같은것까지 깐깐하게 따지기도 했어. 근데 그건 SSD 보급 전의 이야기. 요즘은 SSD의 대량 보급으로 인해 HDD는 사람들에게 완전히 저장용으로 인식된지라, HDD 자체의 성능이 고만고만하기에 그냥 가격대비 용량을 보고 고르는 것이 제일인것 같아.

- 개인적으로는 현재 WD만 사용하고 있어.


7. 케이스

- 그냥 디자인이 마음에 드는거 고르기. 개인적으로 견적요청을 받을 때 가장 난감한 부분이야. 워낙 취향이 다양해서..

- 아무거나 골라도 되지만, 너무 작은 케이스는 메인보드와 호환되지 않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해.

- 메인보드의 크기 규격에는 ITX, M-ATX, ATX, E-ATX 등이 있는데, 보통 "미니타워"로 분류된 케이스들은 ITX 혹은 M-ATX까지만 호환이 가능하니, 미니타워 크기의 케이스를 구입하고 싶다면 호환성을 잘 확인하거나 업체에 물어보고 구매하는 것이 좋아.

- 또, 중급형 이상의 그래픽카드를 구매한다면, 그래픽카드의 길이가 꽤나 긴 경우가 있어서 너무 작은 케이스를 선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해. 너무 딱 맞는 경우 역시 케이스 내부 통풍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까, 그냥 넉넉한 크기의 케이스를 추천할게.

- 완전 개인취향인데, 나톨이 좋아하는 케이스 제조사는 3RSYS, 대양케이스, 쿨러마스터, be quiet, LIAN-LI 등이야. 그냥 디자인이 내 취향인 곳들. Fractal Design, 잘만, Corsair, NZXT 제품들도 마음에 들더라. 기타 잘 팔리는 제조사는 그냥 인기순(판매순) 정렬하면 나올거야!


8. 파워

- 파워의 경우는 보통 500W~700W 정도의 제품을 사게 될 것인데, 돈이 아깝다고 생각하지 말고 충분히 괜찮은 제품을 사는 것이 좋아. 왜냐하면, 저가형 파워가 사망할 때에는 다른 부품들과 함께 동반사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야. 그래서 메인보드와 파워는 내구성을 따지는 편이지.

- 내가 적어둔 가격대 이상으로 구매한다면 웬만해서는 괜찮은 제품을 고르게 될 거야.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제조사는 FSP, Antec, 쿨러마스터 등등인데, 이건 거의 개인취향인듯 하더라고. 가격에 맞춰 안정성이 따라온다는 것만 꼭 기억해두자!

- CPU를 INTEL 9900K, AMD 3900X 3950X, 그래픽카드를 AMD RX 5700XT, NVIDIA RTX 2070 SUPER 이상으로 고른다면 600W~650W 이상의 파워를 추천. 그래픽카드를 하이엔드(RTX 2080 SUPER, RTX 2080 Ti)로 고른다면 700~800W 이상의 파워를 사용해야 좋은 편이야.

- 물론, 저가형 가성비PC에 무조건 600W 700W 파워를 넣는다고 좋은 건 아니야. 파워의 최대용량에 따라서 효율적인 구간이 다르기 때문이야. 중저가형 이하에는 500W를 넣는것도 좋은 선택이야.


9. 용도에 따른 부품선택?

- 많이 올라오는 견적질문이 영상편집용, 애니메이션용, 게임용, 사무용 등등의 용도별 유형이 많았는데, 요즘은 웬만하면 그냥 돈에 따라 성능이 나오는 것 같아서 딱히 많이 추가 설명을 하지 않을게. (AMD 라이젠 2세대까지만 해도 게임용보다는 작업용 성격이 많았지. 그리고 머리아프게도 일부 Adobe 프로그램에서는 인텔이 성능이 좋기도 하는등등 신경쓸 부분이 있었지만, 지금 3세대부터는 별 상관이 없어졌어.)

- 혹시 4K 편집을 고려한다면 메모리를 32GB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고 해.

- 영상 읽기가 많으면 영상용 SSD도 고용량으로 추가적으로 사는게 좋겠지. 영상 불러올때, 작업할때 상쾌하대.

- 딱 이정도인 듯.

- 이외에는 한정된 예산 안에서 용도를 고려해 CPU, RAM, 그래픽카드, 저장장치 중 어떤것에 돈을 얼마나 쓸 것인가를 고민해봐야 해. 잘 모르겠으면 전자기기방에 질문 ㄱㄱ


10. 여담이지만

- 각종 용산업체들 중에서 부품 몇몇개를 선택형으로 할 수 있게 해두고, 나머지는 완제품 형식으로 부품이 고정되어 파는 컴퓨터들을 많이 봤을거야.

- 가성비가 별로인 경우가 생각보다 많으니 구매전 잘 계산해봐야 해.

- 물론, 이런 구성들이 가성비가 좋은 경우도 분명히 있어. 하지만 이 친구들의 메인보드나 파워의 품질이 어떤지 꼭! 확인해야 해. 이런 곳에서 이윤을 남기는 경우가 많으니까.

- 개인적인 편견일진 몰라도, 웬만한 가성비 구성에서는 좋은 파워에 좋은 메인보드 쓴 구성은 거의 못 본것 같아.

- 결론은 조립PC를 구매할거면, 웬만해서는 그냥 견적을 자기가 내서 사는게 나을거야. 내 편견일수도 있지만, 잘 따져보고 구매하길 바라!



다 적어놓고 보니 쓸데없는 말을 적어둔것 같기도 하고, 너무 어려운 말을 적어둔것 같기도 해서 좀 아쉽긴 하지만... 여튼 수정요청이나 질문이 있다면 댓글에 피드백할게!


포토샵으로 보기좋게 이미지로 설명하고 싶었지만 ㅠㅠ 그런 능력이 없어서 아쉽다

  • tory_1 2019.12.11 06:35
    오 좋은 정리글 잘 읽었어. 나도 개인적인 생각 조금만 적고갈게~ 되도록 삼성제품 안사려고 adata샀었는데 간헐적으로 부팅이 안되는 오류가 있어서 새제품으로 교환 받아왔는데 똑같더라고. 나중에 후기보니까 adata제품이 자잘한 오류가 있는편이라 뽑기운이 필요할거 같아. 당해보니까 삼성, wd(블루이상), 마이크론mx시리즈(bx아님)가 무난한거 같아. 나도 mx로 바꾸고나니까 멀쩡.. ㅋㅋㅋ<br />
    그리고 hdd는 자료날아가면 복원가능성이 있는데 ssd는 복원불가라 중요한 자료는 hdd나 블루레이로 굽는게..ㅠㅠ<br />
    그리고 글카 지싱크, 프리싱크는 모니터가 지원을 해야하고 플루이드는 60프레임까지 올려주는거라 일반 모니터에서도 사용가능해. <br />
    파워는 as를 많이 보고 요즘 나온건 다 괜찮긴하지만 80plus인증보단 브론즈,실버,골드같은 등급이 더 신뢰성 있긴해. 그리고 케이블선이 필요한 만큼 있는지, 케이스길이와 맞는지도 보면 좋아. cpu 보조전력에 8핀들어가야되는데 4핀뿐이 없으면 난감..ㅠ
    끝으로 튜닝렘은 삼성렘에서 고수율칩을 빼가서 만드는거라 나중에 오버클럭 할때 잘 먹는장점이 있긴한데 일반 시금치렘도 어느정도까지는 잘 올라가서 보통은 일반사는게 좋음. 오버할꺼면 8x8 조합이 제일이고 그다음이 16x16이야 풀뱅은 오버 잘 안먹힌대ㅠ
  • W 2019.12.11 11:45

    아마 SSD가 메인보드와 호환성 문제가 있었던 모양이네.. 아무래도 나는 본문에서 가성비 라인업으로 ADATA와 Transcend 제품을 많이 추천하긴 했지. 나는 마이크론, WD, Seagate, PNY, HP 제품도 사용해 봤는데 다들 그냥 무난무난하게 썼어.


    파워의 경우 80Plus 인증 중에서 대다수가 Gold, Silver, Bronze 등급을 많이 받는 추세이긴 해. 이 80Plus 인증에 대해서 실효성이 있느냐는 이야기도 간간히 나오는데, 뭐 기본은 하는 구성인지 정도는 알 수 있는 지표라고 생각해서 나는 참고는 된다고 생각하는 편.

    토리말처럼 자신이 필요한 케이블이 있는지, 길이는 적당한지까지도 보면 좋긴 할거야.(길이가 어떤지가 궁금하다고 하더라도, 경우에 따라 상품정보 이미지로는 확인이 어려운 정보이긴 해) 보통은 CPU 보조전원은 4+4핀으로 8핀까지 커버되게 나와서 그부분은 걱정안해도 될것 같아.

    그런데 보통은 같은 등급내 가격차이는 어디서 나냐면 그런 확장성 부분이라기보다는 내부 부품의 품질과 더불어 일반, 세미모듈러, 풀모듈러인지에서 나더라고.


    CPU, 램오버는 너무 어려운 이야기를 할것같아서, 본문에 내용을 추가해서 지나가듯 언급했어, 대다수가 기본상태(PC4-21300 2666Mhz)로 사용하는게 현실이기도 하고.. 여튼 덕분에 내용 보완했어!

  • tory_2 2019.12.11 08:21
    어제 조립컴 질렀지만....ㅋㅋㅋ 이 글 보니 좋은 선택들 한거같아서 만족스럽다!! 좋은 글 고마워!
  • W 2019.12.11 11:52

    다행이네! 고민되었던 부분이 글보고 해소된것 같아 기분좋다.

  • tory_3 2019.12.11 08:59
    미쳣다 진짜 천재톨아 너무너무 고마워ㅠㅠㅠㅠㅠ 희망이 보인다 정말 사랑해ㅠㅠㅠㅠ
  • W 2019.12.11 11:52

    너무 어렵게 쓴거 아닌가 고민이 되더라 ㅜㅜ 설명이 너무 어려우면 추천부품 리스트를 참고해 쏙쏙 선택해줘!

  • tory_4 2019.12.11 10:28

    톨아 정보 너무너무 정리 잘되어 있다 ㅠㅠㅠ 정성글 고마워!!! 아직은 케이스만 바꿀거지만 나중에 참고하려고 스크랩했엉 ㅎㅎㅎ

  • W 2019.12.11 11:51

    나중에 선택하는데 도움되길 바라!

  • tory_5 2019.12.11 11:13

    나도 조만간 컴 바꿔야해서 좋은 글 스크랩해뒀어! SSD는 삼성거 많이 쓰길래 거의 필수인가 싶었는데 트랜샌드 제품도 괜찮은가보구나,

  • W 2019.12.11 11:51

    삼성이 중급형-고급형 라인업이고, 브랜드가치도 높아서, 예산여유가 되면 많이 고르는것 같아. 다만 나는 본문에 언급한 Transcend 제품도 써봤더니 충분히 괜찮았어.

  • tory_7 2019.12.11 13:58
    정성추! 나도 조만간 컴 업글해야 해서 정독했당ㅋㅋㅋㅋㅋ
  • tory_8 2019.12.11 14:42

    처음으로 조립컴으로 바꿔보려고 고민하다가 계속 미뤘거든. 토리 글 정독하면서 제대로 구입해볼게. 고마워!!

  • tory_9 2019.12.11 14:59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0/07/05 17:39:50)
  • tory_10 2019.12.11 15:53

    톨아 고마워 ㅠㅠㅠㅠ 조립컴 어떻게 현명하게 짜지 싶었는데 큰 도움이 된다!! 

  • tory_11 2019.12.11 15:55
    추천과~ 스크랩♥ 고마워 톨앙
  • tory_12 2019.12.11 16:14

    진짜 정성글 고마워 ㅠㅠ 

  • tory_13 2019.12.11 16:14

    대박... 나중에 컴 맞춰야할때 다시 보게 스크랩한다!! 토리 너무 고마워!!!

  • tory_14 2019.12.11 16:16

    와 톨아 멋지다 나 곧 자취시작이라 컴퓨터 이것저것 알아보고 있는데 컴퓨터 잘 몰라서 그냥 인터넷으로 주문할까 싶었는데 ㅠㅠ 스크랩 할껩!

  • tory_15 2019.12.11 16:21
    톨 천사야..? 날개 어디었어..? 고미워 ㅠㅠ 조립컴퓨터 탐나서 기웃거리다 무서워 포기많이했는데 ㅠㅠ 정말 오아시스 같은 글이다 ㅠㅠ 글삭제하지말아줭..
  • tory_16 2019.12.11 16:27
    굉장해! 모르는 사람들이 대다수니까 이런 정보글은 굉장히 유익하다 생각해!!

    그런데 윗쪽에서 볼때 9700k나 9600k처럼 오버클럭 염두해둔 애들은 H370에선 그게 불가능하니 수정하면 사람들한테 더 도움이 될거같아!! 톨 말대로 cpu나 램 오버등은 많은 사람들이 모르긴하겠지만....ㅜㅠㅜ

    그리고 아무래도 팬티엄같은 확실히 저가 가성비 CPU가 아니라면 1~2만원 하는 사제쿨러를 달아주면 온도는 둘째치고 소음에서 몇십 데시벨 차이가 나니까 여러사람들이 참고해서 볼 수 있으면 좋을거같아!

    실제 예를 들어 3700x에 기본 레이스맥스쿨러 달아줬을때랑 3rsys에서 나온 만원대 쿨러 달아줬을때, 풀로드시 소음이 20데시벨가량 차이가 나는 리뷰도 따로 있었어. 모르는 사람일수록 더욱 사제쿨러 싼거라도 달아줘서 소음없이 쾌적한 컴퓨터생활 할 수 있는게 좋은거니까!
  • W 2019.12.11 16:52

    사실 내가 소음엔 그리 민감하지 않은 편이라, AMD의 경우는 그냥 기본쿨러를 잘 쓰는 편이기도 해. 2700X 쓸때도 그냥 기본쿨러 썼을 정도라 ㅋㅋㅋ 인텔 9400F같은 경우 너무 부실한게 문제라 정품쿨러를 써본역사가 없긴해..


    어쨌든, 쿨러와 H370에 관해서 토리 지적도 일리가 있어서 내용을 조금 수정해뒀어!

  • tory_17 2019.12.11 16:39

    만약에 컴퓨터 고장났을때 믿을만한 수리점 찾는 팁 같은거 있을까?

    컴퓨터 잘 모를거같은 사람들 집에 가면... 안에 부품 다 털어가더라고...ㅜ 중고부품으로 바꿔놓거나

  • W 2019.12.11 17:01

    음... 일단 CPU-Z / GPU-Z 같은 프로그램 깔아서 AS 보내기전에 사양 스크린샷으로 저장해두면 부품 바꿔치기는 대비할 수 있을거야!

    옛날에 컴퓨터 살때 견적서나 주문내역서 같은 것까지 있으면 더 좋고.


    좋은 AS업체까진 잘 모르겠다 ㅠㅠ

  • tory_18 2019.12.11 16:46
    고마워토리양 ㅠㅠ
  • tory_19 2019.12.11 16:49
    정성 글 고마워 ㅜㅜㅜㅜ나중에 컴 바꿀때 도움 많이 될 것 같아 거마어 ㅠㅠ
  • W 2019.12.11 16:55

    다들 댓글 고마워!! 계속 피드백 받아서 보완할게! 글삭제도 안할예정이야.

    혹시 나중에 INTEL 10세대나 AMD 라이젠 4세대, NVIDIA RTX 3000, AMD RX 6000 같이 큰 변화 있으면 어떻게 보완할지는 좀 고민해볼게!

  • tory_20 2019.12.11 16:58
    정성글엔 개추야!! 조립컴 사게되면 참고하려고 스크랩도 할게 ㅋㅋ 올려줘서 고마워!
  • tory_21 2019.12.11 17:07
    오 이 글 닥추야! 조립컴 맞출 때 잘 몰라서 네이버 블로그, 지식인, 다나와, 구ㅇㅋ 전자기기방 등등 돌아다녔는데 이 글 하나만 퍼펙이다
    고마워 찐톨!
  • tory_22 2019.12.11 17:14

    고마워 안그래도 지금 조림컴 견적내는 중이였는데 몰랐던 부분들도 알고가고

    알기쉽게 정리해줘서 고마워!!

  • tory_23 2019.12.11 17:27

    나.... 얼마전에 조립컴 샀는데 한번 봐줄 수 있니?? 쿨러 안샀는데 쿨러 사야했나 갑자기 걱정되네..ㅠ.ㅠ

    우선 당연히 추천 눌렀어!!! 정보 고마워 ♥
    3scWOtgcpWgssggY6EMuyu.jpg

  • W 2019.12.11 17:30

    아니야 적당히 잘 산것같아 토리야!!

  • tory_24 2019.12.11 17:29
    와... 톨 천사야 연말 보너스 왕창들어오길바래!!
  • tory_25 2019.12.11 17:32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1/02/17 01:41:21)
  • tory_26 2019.12.11 17:40

    고마우우우!

  • tory_27 2019.12.11 17:57

    와,,,,토리야 고마워!! 복많이 받오!!!

  • tory_28 2019.12.11 18:02
    찐톨 천사야..? 조립컴 사고싶은데 너무 막막해서 섭웨 처음 갔을때 기분 들었는데ㅠㅠㅠ 글 쪄줘서 너무 고마워 참고해서 컴 새로 맞춰야지!
  • tory_29 2019.12.11 18:15
    너무 고마워!
  • tory_30 2019.12.11 18:28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1/05/24 05:13:33)
  • tory_31 2019.12.11 18:42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2/10/09 15:49:18)
  • tory_32 2019.12.11 19:38

    우와 나중에 조립컴 살려고 했는데 너무 고마워!

  • tory_33 2019.12.11 19:39

    컴알못 .. 일단 스크랩할께 ㅠㅠ 하 읽어보며 공부해야겠어 ....

  • tory_34 2019.12.11 19:51
    외 컴퓨ㅓ 항상 어려웠는데 사랑해 토리..
    미세먼지 조심하라구...
  • tory_35 2019.12.11 20:26

    윈도7 이제 지원 종료돼서 나도 새로 컴 장만해야 하는데 글도 댓글도 강같다 ㅠㅠ 토리야 고마워!!

  • tory_36 2019.12.11 20:38

    고마워 토리야 ㅠㅠㅠ 추천과 스크랩 둘다해갈께

  • tory_37 2019.12.11 21:12

    토리야 고마워 ㅠㅠㅠㅠㅠ 조립컴 언제나 눈독만 들이고 있는데 토리 설명보니 조금은 알것 같아 ㅠㅠㅠ

  • tory_38 2019.12.11 21:23
    고맙습니다...고맙습니다....ㅠㅠ 지금 나한테 꼭 필요한 정보였어!
  • tory_39 2019.12.11 21:43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2/03/10 13:37:52)
  • tory_40 2019.12.11 21:58

    정성글 넘나 고마워 토리야 ㅠㅠ 나도 도움 많이 받을거 같아 추천 백번 해주고 싶다!

  • tory_41 2019.12.11 22:13
    와 진ㅈㅏ 고마워ㅠㅠㅠ
  • tory_42 2019.12.11 22:46

    토리야 정성글 고마워~~!!

  • tory_43 2019.12.11 23:11
    내가 이글을 보려고 컴퓨터를 안샀네!!
    고마워 내일 정독하고 리스트 짜서 주문해야겠어 ㅎㅎㅎ
  • tory_44 2019.12.11 23:15
    오오 톨 고마워 강같은 글이다 담에 컴터 업글할때 참고 해야지~
  • tory_45 2019.12.11 23:22
    와 톨아 고마워!!!!!
  • tory_46 2019.12.11 23:24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2/11/02 01:20:01)
  • tory_47 2019.12.11 23:26
    미쳤다 고마워 톨아!!!!!
  • tory_48 2019.12.11 23:51
    디자인톨이라 집에서 작업하는 경우도 많아서 집에도 PC 구비해놓고 사는데 이 글 넘 강같다 ㅜㅜ 최근에 구매한 건 예산에 맞춰서 지인이 조립해준건데 더 이상 부탁하기 힘들게돼서 앞으로 어쩌나 싶었거든 ㅠㅠ
  • tory_49 2019.12.11 23:55

    고마워 살때 꼭 참고할게 ㅜㅜ!

  • tory_50 2019.12.12 00:27
    정말 고마워!!!
  • tory_51 2019.12.12 00:42
    고마워 스크랩할게~
  • tory_52 2019.12.12 01:24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0/02/09 22:43:25)
  • tory_53 2019.12.12 01:24
    대박이다 너무 고마워 읽어볼게
  • tory_54 2019.12.12 04:28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2/03/13 06:46:21)
  • tory_55 2019.12.12 08:09
    정성글 진짜 고마워!!!!!! 도움 많이 받을게
  • tory_56 2019.12.12 09:48

    집에서는 삼성이랑 인텔 ssd(옛날에 산거임) 쓰고 있고 회사에서만 adata를 두번째 쓰고 있는데 구려서 개인적으로는 비추야 

    ssd는 빠르게 쓰고 싶어서 쓰는건데 adata는 하드보다 약간 빠른 느낌이랄까 가끔은 프리징 걸린 느낌 마저 들 때가 있음 

    그래서 주변에서 ssd 산다고 하면 adata는 말리는 편이야


  • tory_57 2019.12.12 09:50

    히야 정말 정성글이다! 컴 살때마다 바보가 되는 느낌이었는데 ㅎㅎ

    토리글 참고하면 호구는 면할수 있을거 같다 고마워!!!

  • tory_58 2019.12.12 10:03

    와 진짜 고마워.. 나같은 컴맹도 쉽게쉽게 이해할수 있었어ㅠ

    게임 외의 고사양작업은 안해서ㅋㅋㅋ 나도 조립컴으로 잘 살수 있을거같아 고마워..!

  • tory_59 2019.12.12 10:19

    이건 스크랩감이다... 나중에 조립컴살때 참고할게 고마웡 ㅠㅠ

  • tory_60 2019.12.12 10:25
    토리야 정성글 정말 고마워! 나중에 컴 맞출때 참고해야겠어 ㅋㅋ
  • tory_61 2019.12.12 12:13

    와 완전 정성글이고 토리 대단하다! 최고!! 추천하고 스크랩할게!!! 

  • tory_62 2019.12.12 12:56
    이런 정성글은 무조건 스크랩♥
  • tory_63 2019.12.12 15:04

    와 ㅠㅠㅠㅠㅠ 정성글..! 추천박구 스크랩합니다. 고마워 토리야!

  • tory_64 2019.12.12 15:13

    와 정성갑 글이다. 나 조립컴 너무 어려워서 평생 노트북만 사서 쓴 톨인데 노트북은 사놓고 보면 가격 대비 성능이 월등히 떨어지는 경우가 많더라고... 지금 쓰는 엘지그램도 150만원 주고 산 거에 고려하면 데스크탑에 비해 성능이 그닥 좋진 않은 느낌...? 물론 노트북만이 가진 이동성, 편리함도 고려는 해야겠지만. 암튼 그래서 데스크탑 구매에 한번 도전해볼까 하던 참이었거든. 사실 글의 절반은 이해 못 했지만 스크랩 해놓고 차근차근 다시 읽어볼게. 정말로, 정보 고마워!! 

  • tory_65 2019.12.12 16:13

    이런 좋은 글 써줘서 너무너무 고마워!!! ㅜㅜ

  • tory_66 2019.12.12 18:00

    와 이런건 진짜 추천, 스크랩

  • tory_67 2019.12.12 19:32
    컴맹인데 너무 고마워
  • tory_68 2019.12.12 21:14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2/03/11 23:21:20)
  • tory_69 2019.12.12 22:05

    정성글 고마워 스크랩 해갈게

  • tory_70 2019.12.12 23:01
    정성글은 닥추! 고마워 톨아 컴살때 참고할게!
  • tory_71 2019.12.13 01:56
    와 정말 필요했던 글이야 최고다ㅠㅠ 고마워 스크랩해가!!!!
  • tory_72 2019.12.13 02:42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0/09/27 21:58:02)
  • tory_73 2019.12.13 10:43

    정성 진짜 고마어!

  • tory_74 2019.12.13 10:53
    안그래도 컴퓨터 바꿔야겠다 생각중이었는데!! 집 가서 찬찬히 읽어보고 나한테 맞는 컴퓨터 찾아봐야겠다! 정리해줘서 정말 고마워!!!
  • tory_75 2019.12.13 11:34
    토리 천사야?????와.....진짜 정성이다ㅠㅠ고마워ㅠㅜㅜㅜ
  • tory_76 2019.12.13 13:03

    와 정성글 대박이다. 나는 산지 얼마 안돼서 당분간은 살 일 없지만 많은 토리들 보라고 추천한다!!!!

  • tory_77 2019.12.13 13:36
    고마워 ♥️
  • tory_78 2019.12.13 15:16

    완전 닥추닥추!! 고마워ㅠㅠㅠ 

  • tory_79 2019.12.13 15:40

    와 미칭 ㅠ내가 이걸 1년전에 봤어야 했는데ㅠ 고마워ㅏㅓㅓㅓ

  • tory_80 2019.12.13 16:49

    항상 궁금했는데 ㅋㅋ.. 슼슼

  • tory_81 2019.12.13 18:47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2/04/10 03:48:57)
  • tory_82 2019.12.13 21:58
    와 나두 컴터 알아보려했는데ㅠㅠ고마워!!!!정성글은 닥추!!
  • tory_83 2019.12.13 22:16
    대박 정보 고마워!!
  • tory_84 2019.12.14 02:09
    와... 토리야 진짜 대박이다 ㅠㅠ
    추천 + 스크랩 안 할 수가 없어 이 글은..♥
    데탑 맞추려고 알아보는 중인데
    이렇게 정성스럽게 글 써줘서 큰 도움이 되었다!
    진짜 진짜 고마워!!!!
  • tory_85 2019.12.14 02:51
    와 정성글이야 이렇게 정보 주기도 쉽지 않은데 시간 내서 좋은 거 알려줘서 정말 고마워
  • tory_86 2019.12.14 11:50
    추천 고마워 스크랩해간당! 컴알못인데 몇번 정독해야겠어
  • tory_87 2019.12.14 23:36

    고마워ㅠㅠ 안그래도 지금 데스크탑 하나 사야겠다고 생각하다가 엄두가 안나서 자꾸 미루고 있었는데 정보 잘 이용해서 꼭 좋은 컴 사야겠당 

  • tory_88 2019.12.16 15:43

    와..톨아 이거 진짜 나한테 꼭 필요한 글이었는데 너무고마워 잘 참고해서 구매할게 너무너무너무 고마워 복받을거야~!~!

  • tory_89 2019.12.16 23:30
    톨아 정성글 고마워 안그래도 조립컴 맞추려고 했었는데 내맘 알기라도 한 듯한 글이다 ㅠㅠ 흑흑 스크랩해갈게~!♡
  • tory_90 2019.12.17 00:43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1/09/21 09:33:02)
  • tory_91 2019.12.17 03:21
    우와 정성글 ㅠㅠ 넘 고마워 스크랩할게 ❤️
  • tory_92 2019.12.17 11:29

    나는 무조건 고사양 써서 일반용인 엄빠 컴 어케 해야할지 몰랐는데 큰 도움이 될거같아 고마워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전체 【영화이벤트】 순결한 수녀의 임신, 축복인가 저주인가! 🎬 <이매큘레이트> 시사회 15 2024.06.24 950
전체 【영화이벤트】 스칼렛 요한슨 X 채닝 테이텀 🎬 <플라이 미 투 더 문> 예매권 증정 50 2024.06.24 899
전체 디미토리 전체 이용규칙 2021.04.26 589602
공지 전자기기 공지 26 2017.12.17 30772
모든 공지 확인하기()
22779 기타잡담 공업용 선풍기 알아보고있는데 두대 중에 골라줄래? 06:33 19
22778 휴대폰 sd카드 대해서 잘 아시는 분... 06:18 23
22777 기타잡담 흰색 헤드폰 써본 톨 있니 ? 변색 어때? 2 2024.06.24 42
22776 컴퓨터 아이맥 뭐 저장하면 바탕화면에 아이콘 다라라라락 생기는거 어떻게 못 막아? 2024.06.24 23
22775 기타잡담 도킹형 보조배터리 5000mAh 살말 고민중~~ 5 2024.06.24 78
22774 태블릿 갤탭 무엇을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문서 작업 중심! 가벼움 중심!) 4 2024.06.24 79
22773 기타잡담 제습기에 자동건조기능 필요해? 2 2024.06.24 64
22772 태블릿 애플 공식서비스센터 질문있어 6 2024.06.24 61
22771 휴대폰 15프맥 업데이트하고 핸드폰 뿌셔버리고 싶다 ㅠㅠ 2 2024.06.24 86
22770 컴퓨터 최대 절전 모드를 했어도 컴이 번개를 맞아 메인보드가 타거나 할수 있을까?? 4 2024.06.23 98
22769 기타잡담 혹시 이 PC 캘린더 앱 아는 사람? (유튜버 스토리꺼) 4 2024.06.23 176
22768 기타잡담 기계식 키보드 키캡 바꿔도 돼? 5 2024.06.23 110
22767 기타잡담 캐리어 에어컨 쓰는톨..?! 2 2024.06.22 217
22766 컴퓨터 게임 렉이랑 발열 2 2024.06.22 80
22765 기타잡담 노캔 이어폰 버즈 vs 보스 뭐가 나을까 2024.06.21 41
22764 컴퓨터 아이맥쓰는 톨들 이미지뷰어나 비디오뷰어 뭐써? 2 2024.06.21 57
22763 태블릿 애플펜슬 사이드 인식이 안되 ㅠ 2024.06.21 58
22762 휴대폰 갤럭시a35 국내판이 나을까 직구가 나을까 1 2024.06.21 104
22761 기타잡담 해외에서 내 아이디가 털린거 같은데..온갖 사이트를 접속하는 이유가 뭘까? 4 2024.06.21 226
22760 기타잡담 혹시 선풍기(써큘레이터)도 앱으로 끌수있나? 4 2024.06.21 159
목록  BEST 인기글
Board Pagination 1 2 3 4 5 6 7 8 9 10 ...
/

Copyright ⓒ 2017 - dmito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