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프로
Extra Form

시청률 집계 가구수가 4~5천가구로 15000천명 정도라는데 

겨우 이 수로 5000만명인 한국의 시청률을 계산한거라고볼수있을까

항상 생각해 인터넷에서 불매중인사람들많은데 솔직히필요가없는게

불매하는사람들이 시청률집계가구가아닌경우가엄청많잖아

그러니 불매효과는줄어들고 그래서 난 티비시청률관해서는 뭔가억울하더라

내가 불매를해도 시청률집계가정이아니니깐 불매를할수가없음...

  • tory_1 2018.03.26 23:20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19/08/09 13:38:43)
  • tory_2 2018.03.26 23:21

    그러게 표본 수 50이었나? 그거만 넘으면 정규분포 이룬다고 하니 ...

  • tory_7 2018.03.26 23:49
    222 통계적으로는 문제없음
  • tory_3 2018.03.26 23:28
    보통 불매운동에 적극적인 연령층은 애초에 티비를 많이 보지 않아서 시청률엔 아무래도 큰영향은 없을거야ㅠㅠ워낙 티비시청자도 고령화가 많이 되어서ㅠㅠ..
  • tory_4 2018.03.26 23:38

    저게 가장 기본적인 표본 조사 방법이니까

  • tory_5 2018.03.26 23:39

    저정도면 표본 엄청 많은거 아니야? 어차피 시청률은 방송국에서 광고때문에 보는거라 .. 보통 불매운동에 적극적인 연령층은 애초에 티비를 많이 보지 않아서 시청률엔 아무래도 큰영향은 없을거야2222

  • tory_6 2018.03.26 23:43
    통계적으로는 문제없지 논리적인 문제는 없음.. 다만 그 통계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는 좀 더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 좀 더 다양한 지표가 필요한게 사실이고, 다양한 지표들이 생겨나고있는것도 사실임 옛날만큼 그렇게 절대적인 의미가 있진 않고, 옛날보다 절대치가 낮아지기도 했고..
  • tory_8 2018.03.26 23:50
    요즘같은 시대에 한집에서 다 따로 보는 마당에 시청률 의미없다고 봄. 특히나 어른들이 리모콘잡고 티비를 사수하기 때문에 젊은층은 혼자살지 않는이상 그냥 따로 보잖아.
  • tory_9 2018.03.26 23:53
    문제 있다고 생각해 그래서 시청률 조사기관마다 시청률 편차가 있고, 일본처럼 시청률 조사가구에 뇌물먹이는 부정도 있었는등 참고하는 영향력대비 신뢰도 부족함. 다양한 연령대반영부족 현실인기랑 괴리된거 항상 느낌.
  • tory_10 2018.03.26 23:56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18/11/15 16:45:08)
  • tory_11 2018.03.26 23:57

    불매로 보여주려는 거긴 하겠지만 보여지지 않는다고 본다면 의미가 없는 불매 같고 불매하는 층보다 보는 층이 더 많을거라서 큰 영향이 있을거 같지 않고 통계라는게 대충하는건 아님 다만 이젠 티비로만 보지 않고 다양한걸로 보기도 하고 바로 vod도 나오니까 예전에는 왜 포함되어야 하냐고 했었는데 시대가 달라진 것도 감안해서 변화는 있어야 할 것 같음

  • tory_12 2018.03.26 23:58
    티비로만 보는 시청률로는 표본에는 문제없는거같은데
    문제는 티비이외의 방법으로 시청하는 사람들은 배제된다는거같아
  • tory_13 2018.03.27 00:26

    .

  • tory_23 2018.03.27 01:59
    22222.......
  • tory_14 2018.03.27 00:31
    시청률 통계 자첸 충분한거 같은데. 다만 요즘은 본방사수 말고 다른 방식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지
  • tory_15 2018.03.27 00:34

    이건 토리가 너무 모르는 소리하는거같은데....겨우 15000가구라니 ㅋㅋㅋㅋ 15000가구나 조사하는건데?????? 우리나라 인구대비 저 정도 표본이면 충분히 많은거야 통계적으로 보면 제일 정확하지..체감이 안되더라도 시청률만한게 어딨겠어 다만 요즘은 젊은층들이 티비를 많이 안보고 클립이나 다운많이받아보니까 시청률만큼 중요한게 화제성이기도하구...시청률뿐아니라 여론조사도 1500~3000명잡고하는데 그것도 충분히 많은거임 토리가 말한 시청률로 채워지지 않는 부분은 화제성이 채워줌 그래서 화제성 조사같은게 있는거지 요즘은 그걸 중요하게 생각하구 네이버티비 같은거에 방송국들이 신경쓰고 광고 다 들어가는거도 이때문

  • tory_16 2018.03.27 00:37
    체감...대충 맞는것 같은데a
  • tory_17 2018.03.27 00:50

    아직도 느끼는거지만 시청률 만큼 정확한게 없어

    당일 시청률만 놓고 1프로 2프로 차이 가지고 프로그램 질을 비교하거나 반응에 대한 차이를 논하는건 좀 안맞다 싶은 경우 종종 있지만

    한달정도 기간 놓고 시청률 추이가 오르냐 꾸준하냐 내리막이냐로 꾸준히 보다보면 어떤 반응인가는 확실히 감이 오지 

  • tory_18 2018.03.27 00:57

    그래도 시청률은 정확한 편이더라..

  • tory_19 2018.03.27 00:58
    통계 기준 저정도면 엄청나게 많은 표본임.. 대선후보 여론조사도 표본 2천명 밖에 안하는데...
  • tory_20 2018.03.27 01:10

    저 정도면 통계 표본 엄청 높은거야 ㅋㅋㅋㅋㅋㅋㅋ


    차라리 젊은 층이 티비로 보는 거보다 인터넷으로 봐서 시청률 부정확할 수도 있다고 하면 모를까.

    저 표본이면 정말 높은 거임.

    글고 괜히 광고회사들이 시청률로 비싼 돈 더 내가면서 광고 집어넣는게 아님 ㅋㅋㅋㅋ

  • tory_21 2018.03.27 01:39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18/03/31 20:40:59)
  • tory_24 2018.03.27 02:23

    항상 비례하진 않더라. 1박을 보면서 느낌.

  • tory_22 2018.03.27 01:55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1/05/14 23:14:55)
  • tory_24 2018.03.27 02:22

    통계학적으론 문제 없는데 사실상 티비 이외로 시청하는 비율이 어마어마해진게 문제지

  • tory_25 2018.03.27 06:31

    윗톨들 말처럼 통계학쪽으로는 외려 표본수가 많은 편이야. 전국 여론조사 표본수 정할때 보통 만명에 1명정도의 비율로 뽑는 편이야. 

    문제는 TV 외 경로로 보는 통계로 잡히지 않는 시청자수가 점점 늘어나서 왜곡이 생기는거지. 

  • tory_26 2018.03.27 06:49
    통계는 학문이야
    그럴만해서 그렇게 수치를 매기는거고 큰 오류가 있지않다면 대체로 오차범위안에서 맞다고 여겨지는 논리적 근거를 검증 마친 거거든 그리고 표본이 엄청 커서 아마 오차범위도 상당히 좁을꺼야 대선같은건 전국민이 하는데 표본도 작고 정치 성향을 드러내야 하는 부분이고 요즘 워낙 전화를 안쓰니까 선거같은경우는 틀릴수 있지만 시청률은 다르지
    다만 기존의 표본 조사가 빠르게 변하는 시청 환경을 반영하지 못하는건 있지만 그건 작은 부분이고
    티비 주 시청층의 선호가 좀더 반영될수는 있으나 아주 지대한 영향을 끼치진 않을거야
    그리고 인터넷으로 접하는 층은 따로 조회수가 카운트 되는 환경이라서(불법다운로드가 아니라면)
    젊은 층이 보는 방법의 영향력은 다른 방식으로 집계되고 있다고 생각해 물론 아직 시청률처럼 집계해서 기사가 날 수준은 아니지만
  • tory_27 2018.03.27 07:36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1/10/28 23:43:57)
  • tory_35 2018.03.27 20:12
    공감. 요즘 푹이나 티빙으로 실시간보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데.. 나도 티비로 안본지 몇년된듯.
  • tory_28 2018.03.27 08:43
    시청률은 "본방사수" 비율인데
    다운로드 합산하는건 노이해
    실시간 외에 평가하는건 무의미하지
  • tory_1 2018.03.27 08:50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19/08/09 13:38:40)
  • tory_29 2018.03.27 09:42

    통계니까 잘 맞는다고 생각해. 내가 안 본다고 해서 다른 사람들도 안 보는건 아니니까

  • tory_30 2018.03.27 09:46

    이건 통계를 몰라도 너무 모르고 하는 소리다

    5천만이든 10억이든 랜덤 샘플링만 확보되면 샘플 사이즈에 따라 신뢰수준만 변할 뿐이지 샘플사이즈와 모집단의 비율 같은 건 아무 관계 없어

  • tory_31 2018.03.27 09:58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18/03/27 09:59:00)
  • tory_4 2018.03.27 10:20

    디른나라도 비슷하지 않아?

  • tory_32 2018.03.27 12:09
  • tory_33 2018.03.27 12:33
    삭제된 댓글입니다. (삭제일시: 2020/06/23 18:05:40)
  • tory_34 2018.03.27 15:50
    통알못 ㅋㅋㅋㅋㅋㅋ
    "시청률 자체가 구시대적이다 통합 시청률 해서 티비 본방 뿐만 아니라 다양한 플랫폼으로 실시간 시청 아닌 부분도 반영되어야 한다" 라는 주장은 OK지
    근데 ㅋㅋㅋㅋ 우리 인구가 오천만인데 표본을 만오천만 뽑다니 그게 말이돼??라니 ㅋㅋㅋ 전수조사 아니면 다 안믿을 기세 ㅋㅋ 엄연히 학문적으로 정교하게 정립되어있는 통계학을 전면부정하는 무지함이네 ㅋㅋㅋ

Copyright ⓒ 2017 - dmitory. All rights reserved.